“수출은 잘하는데 그다음이 문제다. 게임계는 이를 통해 고용 창출에 이바지 하는 등 사회에 기여한다고 하는데 그 것은 수출형 기업이라면 다하는 것이다.”

사회 지도층서 바라보는 게임업계에 대한 평가다. 다른 업종과 달리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것은 게임이란 특성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이 더 많다는 피해의식이 크고, 그럼으로써 게임업계가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는 건 당연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올해 대한민국 디지털콘텐츠 대상 수상작을 선정하는 심사장에서도 이같은 반응은 똑같이 나왔다. 게임업계가 잘하는 건 같은데, 그 것 뿐이라는 것이다. 경쟁 업종에 대해서는 이같은 지적이 없었다. 그런데 유독 게임업체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갖다 대는 등 도덕성 유무를 따져 물었다.

지난해 대상 수상자인 스마일 게이트와 권혁빈 사장에 대한 얘기도 나왔다. 상당수 심사위원들은 하나만 평가해 상을 주고 말았다며 수상자 선정에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즉, 하나 더를 평가해 상을 줄 것인지 아니면 말 것인지를 결정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뒤집어 얘기하면 이 회사와 권사장은 수출에만 성과를 냈을 뿐 사회에는 아무 것도 한 일이 없다는 것인데, 안타까웠던 건 왜 다른 업종과는 달리 게임업계에만 이같은 엄격한 잣대가 존재해야 하느냐는 점이었다.

게임업계에 대한 사회적 정서가 그러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이같은 저간의 사정과 이로인한 수모를 견딜 수 있다.

아직 게임에 대해 놀이문화의 한 줄기로써, 엔터테인먼트산업의 한 장르로써 인정치 않고 있는 것이다.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크고, 성인보다는 내 아들, 내 딸을 걱정하는 부모들의 마음이 게임을 이렇게 하대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순기능만으로는 게임계를 평가하기 싫다는 정서가 사회 곳곳에 깔려있다고 봐야 하는 게 맞다.

이게 싫다면 게임업계는 게임을 들고 ‘마이웨이’할 수 밖에 없는데, 현실적으로 보면 이젠 이 마저도 하기 어렵게 됐다. 게임산업에 대한 메카니즘을 이미 꿰차고 있을 뿐 아니라 ‘마이웨이’하면 기필코 따라나서 낚아 챌 요량이기 때문이다.

게임업계와 사회기여는 더 이상 떼려야 뗄 수 없는 동의어가 돼야 한다는 선배들의 애정어린 충고는 그래서 게임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게임업계가 기금을 출연해 운영되는 게임문화재단이 기금 사용 용처와 집행 과정에서 문제점을 드러내 최근 국감에서 빈축을 산 것도 이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면 쉽게 저간의 사정을 짐작할 수 있다.

한쪽에서는 기금출연을 많이 해 더 좋은 일을 해야 함에도 불구, 자신들이 돈 좀 보탰다고 자신들이 지정하는 쪽에 기금을 쓰라는 게 말이 되느냐는 것이고, 또 한편에서는 자신들이 출연한 기금을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쪽에 쓰면 어떠냐는 것이었는데, 사회정서를 제대로 들여다 봤다면 기금 사용 용처에 신중을 기했어야 옳았다는 생각이다.

안타까운 점은 게임업계에 대한 사회 정서는 경색돼 가고 있는데도 불구, 게임업계는 여전히 이를 외면하려 하거나 사회의 눈높이와 아주 동떨어진 일들을 서슴치 않고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회에서는 이같은 게임계의 움직임을 해 볼테면 해보라는 식이 아니냐는 것으로 거부반응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이로인해 사회와 게임업계에 더 큰 괴리가 생겨나는 것이다.

게임업계가 태동한지 16년째를 맞고 있다. 어려운 난관 속에서 10조원에 달하는 내수 시장을 만들어 냈고, 30억달러 수출이란 콘텐츠 분야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실적을 달성했다. 그럼에도 게임업계는 사회로부터 여전히 찬밥 신세다.

그 것은 성년기에 접어 들었음에도 여전히 ‘아이돌’같이 생각하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지 자문할 필요가 있다. 어른이 되고 그만큼의 예우를 받으려면 그 또한 책임과 의무가 뒤따른다는 사실을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은 아닌지 게임업계가 냉정히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수출만 잘하지 다른 건 글쎄’라는 소리가 마치 ‘덩치만 컸지 아직도 얘’ 라는 말로 들리는 건 단지 나만일까. 이젠 덩치 만큼 내면의 성숙함을 위해 노력하고 힘을 기울여 나가야 할 때다. 그것은 다름아닌 게임업계가 게임 외 ‘하나 더’, 사회를 위해 기여하고 달려 나가는 것이다.

[더게임스 모인 편집국장/건국대 겸임교수 inmo@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