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주회사 NXC 지분율 10.23% 로 확대…가능성 완전 배제 못해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부펀드(PIF)가 또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예상대로 그 방향은 여지없이 한국 게임업체에 꽂혔다. 외신에 따르면 PIF는 최근 넥슨 재팬의 주식 632만1500주를 시가 176억엔(1600억원)에 사들여 넥슨 재팬의 지분율을 기존 9.22%에서 1.01% 포인트 증가한 10.23%로 늘렸다고 한다.

지난해 2월 넥슨 재팬에 첫 투자를 시작한 PIF는 이로써 총 2661억3000만엔(2조4900억원)을 쏟아부어 넥슨 재팬의 지주회사인 NXC(지분율 29.4%)와 NXC 자회사인 NXMH(지분율 16.8%)일본 마스터 트러스트 신탁은행(지분율 12%) 그리고 JP모건 체이스 은행(지분율 10.3)에 이어 5대 주주로 자리하게 됐다.

이같은 한국 게임기업에 대한 PIF의 관심은 넥슨 뿐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미 엔씨소프트에 대한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위메이드와 위메이드 계열 기업과의 협력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또 최근 들어서는 한국서 조금 잘 나간다는 기업들 대부분은 PIF 와 접촉한 것으로 드러나 PIF의 한국 게임 기업에 대한 열정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케 해주고 있다.

업계는 이에 따라 사우디의 종국적인 기업 인수 향배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일각에선 넥슨이 아니냐며 NXC 쪽을 거명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그같은 구체적인 행보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다만, 그럴 개연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넥슨의 창업자인 고 김 정주 회장이 자녀들에게 엄청난 경영 부담 등 압박감을 안겨 줄 수 없다며 넥슨 그룹 매각을 추진 한 바 있고, 막말로 기업은 살아 있는 생물과 같아서 언제, 어떻게, 어떤 일이 빚어질 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여기서 여러 갈래의 추론 및 가능성은 엿볼 수 있겠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사우디의 경제 구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우디는 세계 최대 산유국이다. 창고에 쌓아둔 달러도 엄청나다. 하지만 쓰지 않고 가둬두면 달러 역시 석유처럼 증발하고 만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경제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되게 끔 돼 있다. 여기에는 탄소 중립을 지켜려는 각국의 움직임 또한 사우디에 대한 압박이자 변혁 촉진의 자극점이 되고 있다.

내치의 중심엔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38)가 있다. 그는 지금 사우디의 최고 실권자이다. PIF를 움직이고 PIF에 의해 만들어진 새비 게임 그룹역시 그의 손아래 있다. 결국 PIF의 자금 흐름과 동선은 그의 의지이자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홍해 부근에 서울의 44배에 달하는 2만6500 제곱 킬로미터 넓이에 최 첨단의 미래 도시를 건설한다는 게 과연 실현 가능한 일일까. 그게 바로 ‘네옴시티’ 청사진이다.

다름 아닌 이 계획을 빈살만 그가 밑그림을 그리고 프레임을 만들어 착착 일을 진행시키고 있는 것이다. 식자들 가운데서는 왜 뜬금없이 게임이냐고 궁금증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게임은 지식산업의 보고이자, 무공해 아이템이다. 또 고부가 가치 또한 뛰어나다. 게임강국 중 문맹률이 높은 나라는 하나도 없다. 교육열이 높다는 뜻이다. 빈살만은 게임을 통해 공교육을 고도화시키고, 고용을 촉진하며, 미래의 산업을 일구려는 이른바 탈 석유 프로젝트를 추진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넥슨에 대한 사우디의 천착은 상당히 애정에 가깝도록 촘촘하고 내밀하다. 넥슨 재팬의 지분 확대도 장내에서 이뤄졌다. 넥슨 경영에 개입할 뜻이 없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내 비춘 것이다.

업계에 드러나지 않았을 뿐 PIF측 관계자들이 자주 드나드는 곳 가운데 하나 역시 넥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넥슨측은 이에 대해 일체 언급이 없는 등 함구하고 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그렇게 이해하고, 그렇게 보고 있다.

특히 넥슨에 대한 평판을 상당히 듣고 알고 있는 듯 하다는 게 업계 주변 사람들의 평이고 보면 PIF측의 넥슨에 대한 스터디는 꽤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와는 별개로 PIF 측이 최근 넥슨 재팬에 대한 지분율을 늘린 시점과 넥슨이 올들어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뒀다는 소식이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지고 있다는 점도 그렇다. 약간의 시차가 있으니 오해를 살 일은 아니긴 하나, 그만큼 PIF측이 넥슨에 대한 관심을 쏟지 않으면 그런 타이밍을 이뤄낼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관건은 PIF 측의 바람도 그 것이지만, 고 김 정주 회장의 부인이자 유족 대표인 유 정현 넥슨 그룹 회장이 어떤 결론을 내릴지에 향배가 갈라질 것으로 보여진다.

업계의 시나라오는 이렇다. 당분간은 그렇게 간다. 하지만 때가 되면 매각하는데 그 대상이 외국기업도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 어차피 한국에 있는 기업이라면 고용 측면에서 대주주의 국적이 그렇게 크게 좌우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가장 가까이 서 있는 기업이라고 한다면 사우디의 PIF 쪽이 아닐까. 하지만 그건 아무도 모른다. 다만 분명한 것은 그냥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업은 생물처럼 움직이는 거니까.

 [본지 발행인 겸 뉴스 1 에디터 inmo@tgdaily.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