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김 회장 유가족, 4조 7천억 일괄 물건 납부…정부 선 의외로 전격 매각 결정 선언

정부가 넥슨 지주회사인 NXC에서 물납 형태로 납부한 주식 4조7000억원에 해당하는 비상장 주식을 즉각 매각키로 결정했다. 다소 전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매각 규모가 적지 않은데 다 비상장 주식이란 점에서  쉽게 매각이 이뤄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앞서 故 김 정주 넥슨 그룹 창업자 유가족 측은  4조7000억원에 해당하는 상속세를 물납 형태로 세무 당국에 납부했다. 이 금액은 넥슨 지주사인 NXC의 지분 29.3%에 해당하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당초 정부가 당장 NXC 지분을 시장에 내다 팔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봤다. 마땅한 임자도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그렇게 서둘러서 팔아야 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 세무당국이 NXC의 지분 정리를 서두르는 이유는 예상과는 달리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곳이 빠르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업계에선 이를 두고 사우디 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의 오일머니가 국내에 유입되고 있는 방증이란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반응이 더 우세한 듯 하다. 

콘텐츠 관련 상품은 흔히 생선에 잘 비유된다. 선도가 뛰어날 때  팔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제 값을 받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게임주에 대한 외국 기업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과 올들어 세수 감소가 뚜렷한데 세수를 늘릴 수 있는 큰 보따리를  쥐고도 대책없이 마냥 지켜보고만 있으면 되겠느냐는 지적도 이번 세무당국의 NXC 지분 매각을 서두른 배경이 된 것으로 풀이할 수 있겠다. 

다소 의외인 것은 NXC 유가족은 왜 갑자기 물납 형식을 빌어 상속세를 납부했느냐는 것이다.

유가족이 내야할 상속세는 약 4조 7000억 원에 이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실적으로 보면 NXC 유가족 측에 큰 부담인 금액이다. 비상장 주식이라는 것이 평가액일 뿐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잘 나가는 계열사 매각도 부담이었을 게 분명하다.

업계에서는 NXC가 상속세 마련을 위해 계열사인 A사의 매각을 추진할 것이란 소문이 자자했다. 하지만 인수합병(M&A)시장에선 넥슨의 움직임이 별로 나타난 바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넥슨의 B사의 매각설이 나왔으나 말 그대로 설에 불과했다. 뒤늦게 유가족들이 상속세 분납 쪽으로 선회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 시점이 이 때였다.

따라서  유가족 측의 상속세 물납 결정에 대해 업계는 일단 법 테두리 안에서 고민해 보자는 계산법에서 나온 게 아니냐는 시각이 적지 않다. 

문제는 NXC 지분이 상장 주식이 아닌 비상장 주식이라는 점이다. 이럴 경우 주식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 없다. 최대 20~ 40%까지 주식 가격이 떨어진다. 이를 의식해 일부 얌체 납부자들은 최대 낙폭 시기를 기다려서 주식을 재 매입하는 사례가 없지 않다.

세무당국은 그래서 물건 납부를 금전으로 해 주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법적으로 하자 없는 물납에 대해 이렇게 해 달라 저렇게 해 달라 할 수도 없는 노릇인 것이다. 실제로 물납을 통해 진행한 캠코의 주식 매각은 그렇게 재미를 보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도 안마 의자업체인 휴테크산업, 두유 베지밀 업체로 잘 알려진 정식품 등 5개사의 주식 매각 절차를 진행 했으나 매각 실적은 아주 미진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다면 NXC 주식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어떨까.

일단 넥슨이란 게임 메이저의 지주회사 주식이란 점에서는 아주 매력적인 상품으로 받아 들여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것 뿐이라는 것이다. 주식 수를 헤아려 보면 법적으로 2대 주주에 불과하다. 최대 주주로 올라서겠다는 속셈이 없으면 2대 주주라는 지위는 그 무엇도 아니다. 현재 NXC의 지분은 김 정주 회장의 부인인 유 정현 이사가 34%. 김 회장의 딸인 정민과 정윤이 각각 16.81% 등 총 67.6%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지분을 확보를 통해 1대 주주로 올라서기가 쉽지 않은 구조다.

그간 시장에서는 NXC 유가족 측이 자신들의 지분을 어느 시점에서 재 매입을 시도하지 않겠냐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주당 550만원에 해당하는 지분 29.3%를 상속세 명분으로 정부에 내놓고도 1대 주주의 지위를 그대로 지킬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기간 현상 유지를 기대했을 수도 있다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번 전격적인 매각 결정으로 상황이 달라지게 됐다. 일각에서는 NXC 측이 물납을 통해 나온 주식들이 시장에서 저가로 판매된다는 점을 고려해 현금이 아닌 물납을 결정했다는 설도 나왔다. 그러나 그건 법을 모르고 하는 소리다.  국유재산법이 개정됨에 따라 상속인 또는 특수 관계인이 유찰된 국세 물납 증권을 재취득할 수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식을 다시 되찾으려면 당시 책정된 주당 550만원 이상을 지불하고 매입해야 한다.

따라서 NXC 유가족 측의 지분 물납 결정은 상속세를 일단 기일내에 납부하고 그 다음은 그 다음에 생각해 보겠다는 의도에서 나온 결정이 아닌가 하는 추론을 해 볼 수 있겠다. 특히 세계적인 경기 침체 등 경제 위기 상황에서 거액의 상속세를 납부하는 것보다 회사 지배력에도 별 탈이 없는 물건 납부가 나을 수 있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어찌됐든 NXC 유가족 측의 물납 결정에 대해 아쉬운 점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굳이 물납 방식을 취해 가면서까지 자신들의 지배력을 유지하겠다는 의도를 국민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납득하겠느냐는 하는 점이다. 물론 법적으로는 부동산, 유가증권 등으로 세금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하지만 이를 냉정히 바라보면 그렇게 당당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차라리 삼성가 처럼 분납 형식을 빌어 상속세를 납부키로 했다면 어땠을까. 자칫 상속세 납부도 넥슨 답게 하고 있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NXC의 정부 지분 29.3%는 이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의해  정리되게 됐다. 게임업계 메이저 지분이, 그 것도 적지않은 지분이  정부의 결정에 의해 판가름나게 되는 최초의 사례를 낳게 됐다. 

길한 조짐인가 아니면 흉한 모습의 전조인가.      

[본지 발행인 겸 뉴스 1에디터 inmo@tgdaily.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