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정부가 발표한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고무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아직 특별한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대감도 크지 않다.”

최근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인터뷰 중 이 같은 말을 했다. 앞서부터 몇 차례 정치권에서 게임산업에 관심을 둔 바 있으나 대부분 일회성에 그치거나 길게 이어지지 못했다는 것. 이러한 사례로 이른바 명텐도, 고전 소재 게임 개발 필요 발언 등을 말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2년여 밖에 남지 않은 점을 언급하며 새 정권이 들어설 때 이전 정권이 추진하던 사업이 흐지부지된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좋게 말해 유보적, 나쁘게 말하면 비관적이라 할 수 있는 업계 일부의 의견은 비단 정부 정책 부문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개별 의원의 공약은 물론 정당 차원의 공약에서 게임 관련 내용이 언급됐으나 실현되지 못한 사례가 많다. 아울러 국회의원들이 주최하는 게임 관련 포럼, 토론회에 관해선 “했던 말만 또 나오고 또 나오고 그 이상 나가는 모습을 찾기 힘들다”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가 누적돼 일부에서 게임산업에 대한 정치권의 육성책을 반만 가려 듣는 모습이 나타나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인적으론 이번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해당 정책을 통해 국내 게임산업 경쟁력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다양한 게임한류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5년후, 7년후에도 정부의 게임산업 육성이 뚝심 있게 이어질 것으로 보냐는 질문이 있다면 솔직히 모르겠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물론 각 정권의 지향 방향성 및 시대 상황에 따라 우선시 되는 분야가 다르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산업 육성과 정책 부문 등과 비교하면 유달리 지속성이 약한 것이라 보인다. 가령 교육, 부동산, 국방, 첨단 반도체, 원천 기술, 소재 산업 분야에서 정치권의 관심과 육성이 일회성 혹은 아주 짧은 기간만 이뤄진다면 큰 비판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게임산업 육성에 있어선 아주 당연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것.

모처럼 게임산업에 호의적인 대통령의 임기에 대대적인 육성 정책이 나왔다. 또 21대 국회에서도 게임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의원들이 많다. 향후 몇 년간은 육성책이 지속적으로 전개되며 게임시장에 활기가 띄길 희망한다.

아울러 업계에서도 정치권의 육성책을 온전히 호의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기조가 자리잡아 민관협력이 공고해 지길 기대해 본다.

[더게임스데일리 강인석 기자 kang12@tgdaily.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