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도종환 전 문화부 장관 등 21대 입성…스스로 위상 높이고 사회에 기여해야

코로나19라는 최악의 위기 상황 속에서도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던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막을 내렸다. 결과는 여당의 압승으로 끝났고 야당은 그 어느때보다 참혹한 패배를 맛봐야 했다. 

이번 총선의 결과는 여당에게도, 야당에게도 적지 않은 과제를 남겼다. 더불어민주당은 막중한 책임감과 두려움을 느낀다고 했고 야당은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여 변하겠다고 했다. 정치권 모두 이번 총선의 결과를 해석하고 국민들의 뜻을 헤아리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이번 총선의 결과를 예의 주시했던 게임업계는 김병관 의원의 낙선에 크게 실망하는 모습이다. 게임업체 웹젠의 이사회 의장이었던 그가 지난 20대 총선에서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의외의 승리를 거두자 게임계도 놀라움과 함께 많은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김 의원의 의정활동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대 놓고 게임업계 편을 들 경우 더 비난 받을 것이기에 조심스러웠던 것이다. 이처럼 게임계 출신 정치인이 할 수 있는 일도 많지 않았다. 

그동안 게임업계는 정치적인 역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많이 받아왔다. 게임이 주는 긍정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성 정치인과 시민단체들이 게임을 마치 마약이나 도박과 같이 취급하며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정치인들이 게임에 대해 일정 거리를 두도록 만들었고 친게임 법안의 발의를 어렵게 했다. 

그러한 와중에도 남경필 전의원과 전병헌 전의원은 전면에 나서 게임업계를 지원한 정치인으로 꼽힌다. 비록 지금은 정치권에서 모습을 감췄지만 남 전 의원은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직을, 전 전의원은 한국e스포츠협회장직을 각각 맡기도 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그들이 협회장을 맡았다고 해서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거나 게임악법들이 사라지거나 하지 않았다. 그들은 여권과 야권에서 꽤 영향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계가 분명했던 것이다. 

이는 소수의 국회의원이 게임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라 하겠다. 두 전임 의원 말고도 초선이거나 젊은 의원들이 게임에 대해 큰 관심을 보여준 사례는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의정활동도 젊은 표를 의식한다거나 보여주기 위한 한건주의 식의 관심으로 끝나기 일쑤였다. 

그리고 이제 21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난 시점에 친게임 의원을 꼽아보라고 한다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그동안의 정치활동으로 봤을 때 적어도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활동을 하지 않고 측면지원을 해 줄 수 있는 인물은 몇몇 눈에 뜨인다. 여권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을 역임한 도종환 의원을 꼽을 수 있다. 그는 문화부 장관 시절에는 게임업계와 허물없이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야권에선 부산시장을 지낸 서병수 의원이 게임에 대해 우호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는 국제 게임쇼인 '지스타'를 적극 지원하며 부산을 세계적인 게임메카로 만들겠다고 발 벗고 나섰던 인물이다. 그만큼 게임산업에 대한 이해가 높고 그동안의 활동으로 보아 적극적인 지원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장관과 시장으로서 해 왔던 역할과 국회의원으로서 해야 할 일은 분명 다르다. 이로 인해 그들의 정치적 견해도 변할 수 있다. 게임을 잘 안다고 했던 그들이 오히려 게임을 부정하는 일에 앞장 설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직 21대 국회가 출범하려면 한달여의 시간이 남아 있다. 때문에 국회에서 게임계를 담당하게 될 문광위와 여가위 등에 누가 속하게 될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누가 게임계에 관심을 기울이더라도, 또는 누가 게임계를 부정하게 되더라도 이를 견뎌내고 그들을 설득하고 이끌어 갈수 있는 자체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몇몇 인물에 의존할 경우 그가 떠나고 나면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될 수 밖에 없다.  

정치인들이 게임업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분명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알았을 것이다. 이제는 한 두명의 정치인들에게 끌려갈 것이 아니라 그들 앞에서도 당당하고 논리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게임업계는 더 이상 코 흘리게 어린아이도 아니고 30여년의 업력을 쌓은 성인이 됐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게임계가 강한 결속력으로 뭉쳐서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그에 따른 역할을 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길이다. 정치인들이 먼저 게임업계의 눈치를 보고, 업계를 위해 먼저 나서도록 스스로 위상을 높여나가고 사회에 기여하는 행동이 필요한 때인 것이다. 

정치인들은 약자보다는 오히려 강자의 편에 선다는 냉혹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더게임스 김병억 편집담당 이사 bekim@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