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이 여당의 압도적인 승리로 막을 내린 가운데 관심을 모아온 친게임계 후보들이 대거 낙선하면서 향후 게임계의 정치 사회적 부담이 적지 않아질 전망이다. 

더욱이 게임계 대표 주자격인 성남 분당구갑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후보가 앵커 출신 미래통합당의 김은혜 후보에게 고배를 마신데 이어,  막후에서 게임계를 적극 지원해 온 부산진구갑 더불어민주당 김영춘 후보 역시 부산 시장 출신의 서병수 미래통합당 후보에게 밀려 낙마함에 따라 게임계의 국회 대화 채널이 사실상 와해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없지않다.

주지하다 시피 게임계의 정치권 인맥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아주 일천하기 그지 없다. 주로 초선 의원이거나 젊은 의원들이 주류를 이루다 보니, 무게감 역시 주지 않는다는 평이다. 정치력을 갖춘 남경필 전 의원과  전병헌 전 의원 등이 게임단체장을 맡아 잠시 활약한 것을 빼고는  중진급 의원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다.

그렇다보니, 정치권 바람에 쏠리는 일이 많아졌다. 특히 국회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의 목소리가 커짐도 친 게임계의 인사의 필요성을 절감케한 요인이 됐다. 산하단체장의 초치는 물론이고, 재계쪽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일들을 게임계에 대해서는 일사천리로 요구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선 게임계의 국회 채널이 왜 필요하느냐고 묻기도 한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아주 간단하다. 몰상식을 상식처럼 몰아가는 일부 의원들의 못된 정치 행태 때문이다. 마치 게임을 통해 한건 해 보겠다는 의원들 또한 적지않고, 게임에 대해 애초부터 부정적인 시선으로 접근하는 이들 역시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게임에 대한 국회 비중이 해마다 급증함에 따라 이같은 민원을 해결키 위한 국회 채널이 절실하게 됐다고 할 수 있다.   

내달 21대 국회가 개원되면 당장에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 심의안이 상정되게 된다. 또 중기적으로는 새로운 게임 산업 로드 맵을 완성해야 하고 산업계의 절대 숙원 과제인 대중문화예술 진흥법 개정을 통해 게임을 문화의 한 장르로 인정받아야 하는 과제를 풀어 나가야 한다. 이와함께 세계 보건기구(WHO)의 게임질병 코드 도입 결정에 따라 절차 법안이 곧 추진되게 되는 등 게임계의 현안들이 대거 쏟아질 전망이다.  한마디로 이들 과제는 손을 놓으면 절대 안되는 주요 의제들인 것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이번에 압승을 거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게임프랜들리 정책을 펴고 있고, 21대 국회에도 등원하게 될 도종환 의원(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서병수 의원 등 상당히 게임계를 잘 아는 인물들이 포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게임계가 친게임계 의원들이 대거 낙마했다고 해서 의기소침하고 있을 때가 아니라 도리어 새로운 마음을 다지는 심기일전의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예컨대 게임계에 대한 인식제고 등 이제부터라도 정치력을 발휘해 볼 때라는 것이다. 또 필요하다면 미국과 일본처럼 전략적으로  친 게임계 인사를 만들기 위해 의원들의 돋우기와 지원방안을 검토해 볼 때도 됐다고 본다. 언필칭, 제도권에 게임계가 더이상 구상유치한 집단이 아님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