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모바일게임이 위세를 떨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또 그만큼 생존경쟁 역시 치열할 것이다.

이처럼 고조되는 위기감 속에서 모바일게임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는 성공 전략 중 하나는 판권(IP)이다. 이미 ‘뮤 오리진’뿐만 아니라 해외 곳곳에서 유명 IP를 활용한 모바일게임들이 공세를 펼쳐왔으며 올해 이 같은 행보는 더욱 공격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거 해외에서 성공한 IP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같은 IP 확보 경쟁이 자칫 과열 양상으로 흘러가거나 부작용을 초래하진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잇따르고 있다.

다수의 국내 업체들은 ‘뮤 오리진’과 같이 온라인게임 판권을 해외 개발사에게 내주고 모바일게임으로 부활을 꿈꾸고 있다. 혹은 이 같은 자사 IP를 모바일로 새롭게 선보이겠다는 계획을 구상 중이다.

그러나 이처럼 업체들이 추진하는 IP가 모두 흥행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기존 온라인게임 IP의 명맥을 이어가겠다는 생각 없이 과거의 인기에 기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IP 원작인 온라인게임이 유저들에게 외면을 받고 무너져 내린 상황에서 모바일게임으로 부활시켜봤자 실패를 거듭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또 IP 활용을 성공 전략 중 하나로 접근하는 것은 좋지만 이럴 때 일수록 새로운 IP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잇따르고 있다.

특히 업계 한 관계자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모바일게임이 비교적 규모가 작은 만큼 먼저 새로운 시도를 통해 시장에서 자리 잡은 뒤 차후 온라인게임으로 영역을 넓혀가는 것을 계획했다”며 “그러나 불과 몇 년 만에 모바일게임 개발 규모가 온라인게임에 버금기는 등 시장이 빠르게 바뀐 만큼 이 같은 이야기가 무색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사실 이처럼 IP를 활용한 작품들은 새롭게 출시되는 작품들의 극히 일부라고 볼 수 있다. 그만큼 수많은 업체들이 새로운 도전에 나섰으나 시장에 안착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올해는 과거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급성장을 주도했던 업체들의 새로운 시도에 기대가 모아질 수밖에 없다.

‘애니팡’ 시리즈의 선데이토즈뿐만 아니라 ‘쿠키런’의 데브시스터즈, ‘포코팡’의 트리노드 등 캐주얼 장르 대표 업체들이 올해는 새로운 작품을 론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업체는 하나의 IP로 성공신화를 만들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또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이들에겐 새로운 IP의 성공이 더욱절실할 상황이다.

[더게임스 이주환 기자 nennenew@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