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종사자뿐 아니라 문화계 인사들은 최근 믿을 수 없는 황당한 광고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 이유는 보건복지부가 지하철과 인터넷을 통해 ‘게임중독’을 예방한다는 취지의 TV 광고를 내보낸 때문이다.

이 광고의 내용은 실로 충격적이다. 해당 광고는 ‘게임 배경음악 소리가 환청처럼 들린 적이 있다’ ‘사물이 게임 캐릭터처럼 보인 적이 있다’ ‘게임을 하지 못하면 불안하다’ ‘가끔 현실과 게임이 구분이 안 된다’ 등 부정적인 질문을 던지고, 이들 중 하나라도 해당 하는 사람은 게임중독자 일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광고 마지막에는 ‘게임 중독,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파괴합니다’라면서, 지나가는 행인을 무차별 적으로 폭행하는 등 마치 게임 유저 모두가 잠재적 범죄자인 것처럼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 광고는 모든 게임인들의 공분을 샀고 보다 못한 일부 게임 단체에서는 성명서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 단체는 성명을 통해 “어느 나라에서도 게임을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로 표현하거나 규정하지 않는다”면서 “이번 광고는 게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최근 박근혜 정부에서 강조하는 문화콘텐츠산업 육성과 창조경제, 문화융성의 관점과도 배치된다”고 주장했다.

이 광고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자 게임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복지부에 강력 항의했고 합의가 이뤄지지 않자 청와대가 중재에 나서 결국 이 광고는 내달 2일까지만 노출하는 선에서 매듭지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복지부는 내심 이 광고에 대해 ‘잘못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이는 복지부의 일방적이고 무지한 횡포라 할 수 있다. 어떻게 정부의 이름으로 진행되는 공익 광고를 제작하면서 이해관계에 있는 타 부처의 의견을 전혀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던 것인지 , 또 문화 콘텐츠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게임을 국민의 혈세를 써 가며 제멋대로 중독물질로 규정하며 ‘마녀사냥’을 할 수 있는 지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또 있다. 복지부는 이번 사안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과거 복마전의 부처라는 소리를 지우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했다. 게임에 대해 중독물질 운운하는 게 또 다른 음흉한 목적을 가지고 접근하는 게 아닌가 하는 게임계의 경계심을 그냥 기우라고 여기기에는 복지부의 의지와 힘이 너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문화산업의 총아라고 일컬어지는 게임을 단순히 국민 보건 복지 차원에서 논한다고 한다면 그 것은 바둑에서 열의 수를 바라보지 못하고 오로지 자신의 수만 옳다고 믿고 던지는 패착의 수와 다름 아니다.

복지부가 지금 어느 시대에 살고 있는지 다시 헤아려 봤으면 한다. 그 것이 과연 공익광고의 대상이라도 될법 한 일인가. 게임이 문제가 있으면 아무리 살리려 해도 살 수 없고 그렇지 않으면 녹아 들어가는 것이다. 도대체 문화라는 문자를 알고 하는 짓인가.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