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를 위해 길을 나서다 노후건물 철거공사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을 목격했다. 철거공사 중 예상치 못한 붕괴가 일어나서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했는데, 안전펜스가 잘돼있어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일단 119를 통해 사고를 신고하고 약속 시간이 촉박해 갈 길을 재촉하는 중에 문득 최근 게임업계도 이와 비슷한 모양세란 생각이 스쳤다. 저 안전펜스 처럼 모바일게임 사업에 뛰어든 게임인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가란 걱정 때문이었다.

최근 게임업계의 가장 큰 화두는 모바일게임이다. 비교적 작은 투자로도 큰 성과를 보고 있어 업체 규모와 상관없이 모두 탐내고 있다. 개발비가 크게 필요하지 않아 시장의 가능성을 믿고 뛰어든 소형 업체도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다. 모든 게임이 성공했으면 하는 바램이지만, 실상은 대부분의 게임이 성공하지 못하고 사라져 가고있다.

작품에 매달려 달려온 소형업체는 한 번의 실패도 뼈아프다. 재도전 할 여력이 있으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소형업체에게 재도전은 사치다. 자금에 여유도 없지만, 노력해준 직원들을 보는 맘고생에 폐업이란 수단을 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폐업으로 인해 서비스가 중지되면 가장 큰 피해를 본 사람은 선의의 피해자가 된 유저다. 또, 게임을 만든 게임인들 역시 유저와 마찬가지로 피해를 입는다. 유저의 경우 소비자보호법 등의 안전장치가 있어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게임인들은 마땅한 보호책이 없는 상태라 걱정이다.

물론 고용보험을 비롯한 국가적 안정장치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일 뿐 게임개발이라는 목표로 열정을 투자한 게임인들의 상실감과 피해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 갈수록 힘들어지는 취업시장 탓에 재취업도 예전만큼 쉽지 않다.

물론 실패에 대한 책임은 오롯이 도전자들의 몫이다. 창업에 도전했던 게임인들 스스로가 짊어져야할 짐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실패를 수습한 게임인들이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업계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 모두가 생존을 외치는 이때 게임인들이야 말로 생존을 보장해줄 기둥이기 때문이다.

게임산업은 사람이 전부라 할 정도로 인재의 중요성이 높다. 이런 게임인을 보호하는 역할은 산업을 구성하는 업계와 게임인이 나서서 해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꼴이 되지 않으려면 업계차원에서 안전책을 마련해야 한다.

설 자리를 잃은 국내 게임인들을 중국 자본이 유혹하는 이때, 게임업계가 나서서 게임인을 보호하지 않는다면 한국 게임산업은 자멸의 길을 걷게 될지도 모른다.

[더게임스 서삼광 기자 seosk@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