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된 ‘지스타2013’에서 독일이 화제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이번 지스타에 참가한 독일 정부측이 우리나라 게임업체들이 독일로 이전할 경우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원사업을 설명하면서 언급한 내용이 이슈가 되기도 했다. 독일 정부 관계자는 “독일 정부는 중독 치유에 대한 지원을 하지만, 술과 마약에 집중돼 있을 뿐 게임을 중독물질로 구분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하며 최근 국내 게임산업의 최대 이슈로 떠오른 게임 중독법을 직접적으로 겨냥했기 때문이다.

이런 해외 정부의 움직임은 국내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가 화제가 될 때마다 계속해서 언급됐다. 지난 2011년 셧다운제가 본격 시행되자 일본 퍼블리셔 업체들은 ‘일본은 한국과 달리 셧다운제가 없다’고 강조하며 시선을 끌기도 했다.

이 뿐만 아니라 룩셈부르크는 지난 2011년 지스타 현장에서 공무원들이 한글로 만든 명함을 돌렸을 뿐만 아니라 기욤 룩셈부르크 왕세자 역시 지스타 행사장에 방문, 국내 업체에 대한 적극적인 사업 유치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을 지켜보면서 몇몇 게임업계 인사들은 우리의 우수한 인재와 기업체가 외국으로 훌쩍 떠나버리면 어쩌나 근심어린 표정을 짓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국내 게임산업은 더욱 위축되면서 악순환이 이어질 것이 뻔하다. 특히 국가의 규제 정책을 빌미로 유혹을 손길을 뻗는다면 쉽게 뿌리치기 힘들 것이다.

그야말로 게임산업을 키우지 못할망정 국가가 나서서 해외로 밀어내고 있는 듯해 가슴 한 구석이 무겁게 가라앉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특히 적극적인 유치 행동을 보인 국가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해외기업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마음만 먹는다면 언제라도 우리나라를 떠날 수 있는 게 현실이다. 오스트레일리아와 폴란드, 프랑스도 국가 차원에서의 게임산업 육성을 공식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힌 데 이어 캐나다 역시 산업 지원뿐만 아니라 개발 인프라 확보를 위해 해외기업 유치 또한 적극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게임 중독법은 현재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중독’으로 분류하기에는 과학적 조사와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법의 제정을 강행하려는 움직임은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는 말과 다를 것이 없다는 느낌이다.

이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미래의 먹거리라고 자랑했던 게임산업은 부끄러운 산업으로, 또 추방당해야 할 산업으로 전락해 버리고 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엉뚱하게도 우리의 경쟁국들이 더욱 기뻐하고 배를 불리게 만들고 말 것이다.

지금이라도 정부와 정치권의 글로벌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좀 더 큰 그림을 그리는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더게임스 김용석 기자 kr1222@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