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열린 ‘중독법’에 관련한 공청회는 누굴 위한 공청회였는지 의문이 남는 자리였다. 신의진 의원 주최로 열린 ‘4대 중독예방관리 제도 마련 토론회’는 찬성과 반대의 의견을 서로 나누는 자리가 아닌 ‘중독법’을 설득하는 자리로 보였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두 명의 주제발표자 모두 ‘중독법’ 찬성자였던 점이다. 토론자로 참여한 인사들 중 대부분의 토론자가 찬성 입장이었던 점으로 미뤄 볼때 반대의견을 낸 토론자 참여는 구색 맞추기에 불가하다는 인상마저 받았다.

특히 자유토론 시간 때 여러 게임개발자들이 ‘중독법’은 게임산업을 저해하는 법안이다라는 발언을 묵살하는가 하면 그들을 향해 “게임중독 현상만 놓고 봐달라”라는 사회자 발언으로 소란이 일기도 했다. 공청회가 아니라 ‘중독법’과 관련한 설명회 내지는 설득회 자리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

왜 게임업계종사자들이 이 ‘중독법’에 대해 우려하고 반대하는지에 대해서는 귀를 기울이지 않은 채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계신다” “게임과 관련한 부작용은 분명 있지 않느냐”라는 말들로 중독법 찬성하기를 종용하는 듯 보였다.

또 마치 반대 입장측이 ‘중독법’에 대해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무작정 반대한다는 식으로 대하는 자세마저 보였다. 현재 게임협회 홈페이지에서 받고 있는 ‘중독법’ 서명운동 시작한지 하루만에 3만이, 현재는 10만이 훌쩍 넘었다. 이 많은 여론이 왜 반대하는지에 정작 관심 없으면서 반대 여론을 이해 못한다는 자세에 기가 찼다.

여기에 게엄 업계가 뿔난 것은 당연하다. 일각에서는 남경필 게임산업협회(K-iDEA) 회장이 반대 의견 피력이 너무 약했다는 평가와 끝까지 자리에 남아있지 않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또 남 의원이 주축이 된 공청회가 다시 열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신 의원 공청회가 정신의학과 쪽과 아동․청소년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공청회를 실시한 만큼 남 의원 쪽에서도 게임 업체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개발자와 학계 관계자들의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런 공청회는 단순히 한 두 번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민감한 사항인 만큼 여러 차례에 걸쳐 의견을 나눠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는 20일 셧다운제가 시행된지 2주년이 된다. 현재 셧다운제만 하더라도 여전히 효율성, 형평성, 부작용에 대한 문제만 가득한 채 게임 옥죄기 법안이 다시금 실시되려 하고 있다. ‘중독법’이 통과되면 게임은 마약, 알콜, 도박과 같은 중독위험성이 있는 콘텐츠로 분류된다.

안그래도 부정적인 이미지만 남은 지금 이 법 마저 통과되면 국내에서 더 이상 게임을 제작되기 힘들다. 현재도 온라인, 모바일 할 것 없이 힘든 와중에 더 큰 침체기가 올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진퇴양난에 빠져 있는 지금, 게임협회와 업계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도 주목해야 한다. 오는 14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게임 축제 ‘지스타’가 정말 이대로 게임 장례식이 될지, 내년 작품들을 선보이는 축제가 될 지 여부가 여기에 달렸다. 다시는 ‘셧다운제’같은 악법이 제정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게임스 김수빈 기자 subinkk@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