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바일게임이 급부상하면서 콘솔게임과 PC게임이 하향세를 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콘솔게임과 PC게임 모두 모바일게임으로 교체될 것이란 극단적인 해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 열린 팍스 이스트(PAX East)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DC)는 모바일게임 뿐만 아니라 PC게임과 콘솔게임 모두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몇몇 기술은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PC게임과 콘솔게임만의 장점(고사양, 전문성 등)을 극대화시킨 기술을 통해 각 플랫폼이 가야할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이런 세계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장은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모바일에 뛰어들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 새롭게 탄생한 신생 게임업체들 대부분 온라인 게임이 아닌 모바일게임 개발사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진다.

여기에 기존의 온라인게임을 제작하던 업체들까지 모바일시장에 급하게 뛰어들고 있는 형국이다. 이미 특정 게임 하나가 흥행을 하면 수십 수백 개의 아류작이 쏟아져 나오고 제2의 '애니팡' 신화는 꿈꿀 수 없을 정도로 게임의 회전 주기는 빨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트렌드를 단순히 따라가기만 해서는 시장 자체의 유지가 될 수 없다. 특히 대기업의 자본와 검증된 게임성에 밀려 중소기업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필두로 한 작품들은 빛을 보지 못하게 되 천편일률적인 게임으로 모바일게임이 채워지게 될 지도 모른다.

PAX와 GDC 두 행사가 보여준 새로운 패러다임을 한국 업체들도 파악을 해야 할 때다. 이미 모바일게임 시장은 단순히 남들도 다 하고 돈이 된다고 해서 무작정 따라간다고 성공할 수 있는 시장인 만큼 녹록치 않아졌기 때문이다.

업체들은 나무가 아닌 숲을 봐야 한다. 모바일게임의 급성장과 그에 따른 엄청난 매출이 아니라 게임의 본질적인 재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시장을 찾아 나가야 할 때다. 이는 온라인이나 콘솔로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며 각자의 영역이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다.

유저들은 플랫폼에 상관하지 않는다. 재미있는 게임이면 어떤 플랫폼의 게임이든 플레이를 하기 때문이다. 유저들이 플레이를 한다면 매출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법이다. 조급하거나 지나치게 과장해서 상황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먼 앞날을 내다보는 전략적인 접근이 무엇보다 필요한 것 같다.

[더게임스 김용석 기자 kr1222@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