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9일부터 20일간 국회에서 진행 됐던 국정감사가 마무리됐다. 이번 국감에서는 게임 분야의 경우 사행성 문제, 과몰입, 수출 지원 강화 등과 ‘디아블로3’ 심의 논란, 확률형 아이템 규제 등과 같은 문제도 제기 됐다.
이번 국감에서는 오는 11월 시행을 앞둔 ‘게임셧다운제’를 앞두고 많은 얘기들이 오고 갔다. 특히 조순형 자유선진당 의원은 게임중독을 마약으로 비유하며 셧다운제의 빠른 실행을 촉구했다.


조 의원은 분당 서울대 병원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게임중독은 마약중독과 같은 의학적 질환으로 불 수 있다”며 “의학적으로 게임중독이 정의된 만큼 체계적인 진료와 고육지책으로 마련된 셧다운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에 이 같은 발언에 업계는 냉담하다 못해 너무 심했다는 반응이다. 11월 본격 시행을 앞두고 골머리를 썩고 있는 와중에 굳이 그런 발언까지 필요 했는가 라는 것이 업계 분위기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게임 산업 자체를 사회 문제점의 시발점으로 보는 시각이 팽배하다. 청소년들의 탈선을 주도, 아이들 성장 능력 저하, 은둔형 외톨이 양성 등의 사회의 음지에서 일어나는 몇 가지 문제를 마치 게임이 탈선에 조력자가 됐다는 것처럼 비추는 경향이 많다.


 이런 의견이 모여 결국 게임을 생각하면 안 좋은 것이라는 이미지를 심어 줬으며 결과적으로 셧다운제의 실행까지 오게 됐다. 현재 국내 게임 콘텐츠는 전 세계적으로 그 위용을 떨치고 있으며 상반기 국내 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본 것으로 조사 됐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에서 전반적 제반 지원을 해줘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앞 다투어 업계 때리기에 바쁘다. 이런 게임 업계 때리기가 계속 된다면 과거 만화 산업이 몰락했을 때 처럼 시간이 흘러 후회하게 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물론 게임 업계를 무조건 피해자의 입장에서 보기는 힘들다.

 

콘텐츠 시장의 가장 많은 이익을 차지하면서 사회 공헌 활동에 소극적인 태도는 분명 문제가 있다. 바로 앞에 있는 이익만 보면서 손해 보는 행동을 하지 않는 이런 게임 업계의 행동을 바꾸지 않는 이상 우리 사회가 게임을 바라보는 시선을 언제까지고 변하기 힘들 것이다.

 

[더게임스 김초롱 기자 kcr86@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