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자드가 기대작 ‘디아블로3’ 출시를 앞두고 사행성 논란의 한복판에 서있다. 논란의 핵심은 ‘경매장’이란 게임속 아이템 현금 거래 시스템이다. 현재 온라인게임 아이템 중개 사이트 등을 통해 이뤄지는 아이템 거래를 게임 서비스 주체가 그것도 게임 안에서 직접 중개하겠다는 것인데, 현행법상 논란의 여지가 다분하다. 현재 게임산업진흥법상 아이템 현금 거래를 ‘업(業)’으로 할수 없을 뿐더러, 게임 서비스업체가 스스로 아이템 거래를 중개하는 것은 유저들의 사행성을 조장할 여지가 높다.


게임등급을 결정하는 게임위측은 당연히 부정적이다. 사행성 조장 시스템에 관한한 보수적인 잣대를 들이대고 있는 게임위는 이 시스템에 대한 수정이나 폐지가 없이는 등급분류를 거부할 것이란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게임 서비스 업체 입장에선 등급을 내주지 않는다는 것은 ‘사형선고’나 마찬가지다. 북미를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출시를 앞둔 ‘디아블로3’의 등급분류가 결정되며 논란은 증폭되고 있지만,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는게 이치에 합당하다.


급기야 ‘디아블로3’가 이번 국정감사의 게임 부문의 주 매뉴로 부상했다. 한나라당 심재철 의원은 지난 28일 국감 자료를 통해 게임 내용에 아이템 현금거래 기능이 있다면 사행성 유발 및 조장을 방지하기 위해 등급분류를 거부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법이나 국민정서 등을 감안할때 ‘디아블로3’의 아이템 거래 시스템이 그대로 서비스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블리자드측이 이를 모를 리 없으며, 이미 한발짝 물러설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결과에 상관없이 ‘디아블로3’는 이번 사행성 논란을 통해 다시한번 전국민적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 국내에서도 워낙 인지도가 높은 게임인데, 여기에 날개를 하나 더 달아준 격이 됐다. 블리자드의 전매특허인 ‘노이즈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본 셈이다. 블리자드는 ‘노이즈마케팅’에 숙달된 업체다.

 

‘WOW’와 ‘스타크래프트2’ 론칭 과정에서도 그랬다. 파격적인 사회공헌 계획을 내놓으며 한국 서비스를 준비중인 라이엇게임즈와 너무도 비교된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