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가 최근 재계를 향해 던진 화두는 공생 발전이다. 상부상조하면서 살아 간다는 공생이란 단어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은 이해관계가 얽히고 설켜 있고 상대를 완전히 제압하거나 압도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시장 경제를 향해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다는 점이다. 이는 그동안 실용 정부를 지향해 온 이 정권이 한 걸음 물러서서 글로벌 패러다임에 재계의 틀을 맞춰보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재계쪽에서는 일단 겉으로는 환영한다고 밝히고 있으나 때아닌 공생이란 단어 출현에 상당히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포퓰리즘에 편승한 일부 참모들의 설익은 명제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냐고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 환경과 국내 정치 흐름을 고려할 때 신자유적 자본주의도 아닌, 그렇다고 유럽형 복지 사회를 지향하는 것도 아닌 제 3의 모델 발굴이 절실히 요구돼 왔다는 점에서 어느 특정한 방향으로 쏠렸거나 기울었다고는 말 할 수 없다.


분명한 것은 그동안 재계 일각에서 보여줬던 자사 계열사 도와주기 또는  퍼주기 등 불공정 행위를 그대로 좌시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너무 한쪽으로 쏠려 있는 게 있다면 그 반대편 쪽에 힘을 보태 불균형을 바로 잡아 보겠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래야만 자연 생태계 처럼 재계가 균형있게 발전하고 공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란 것이다.


솔직히 글로벌 경제에서 ‘나홀로 성장’이란 있을 수 없게 됐다. 애플과 구글이 유일무이하게 앞서 달리고 있지만, 그 것은 거의 한 세기의 혁명에 가까운 발상 전환에서 나온 결과물일 뿐이다. 대규모의 공장을 가동하게 되면 탄소 배출권을 사야하고, 무턱대고 값싸게 공급하거나 값 비싸게 내다 팔 수도 없다.

 

여행을 하더라도 현지인에게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도록 요구받고 있고 너무 비대해진 기업에 대해선 수많은 시민 감시단들이 진을 치고 지켜보고 있다. 예컨대 아주 잘 나가면 제동이 걸리고 너무 못 나가면 지켜보지 않고 뒤에서 밀어줘야 할 판이다. 이명박 정부가 시장 명제로 공생 발전이라고 끌어다 썼지만 실은 글로벌 경제의 대세이자 흐름이다.


지난호 본지 톱기사는 중소기업들이 시장 활로를 못 찾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퍼블리셔와 개발사의 불공정 계약 행위는 비단 어제 오늘만의 얘기는 아니다. 퍼블리셔에 잘못 보이면 여지없이 도태되고 작품을 론칭하려 해도 받아주는 데가 없다. 우월적 지위를 앞세운 일부 퍼블리셔의 계약조건은 일방적이다 못해 아주 굴욕적이라는 게 개발사 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그나마 세상에 빛을 본 게임업체나 게임은 다행이다 할 정도다. 때 아니게 퍼블리셔가 개발사에 끌려 다니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대부분은 퍼블리셔가 갑이고 개발사가 을이다. 그만큼 한쪽으로 쏠려있는 것이다.


 과거, 계획 경제 속 대기업들이 승승장구해 온 반면  중소기업들은 그들의 그늘에 가려져 허덕였던 것과 같이 게임계도 비슷한 족적을 보여 왔다. 

 메이저들은 성상이 쌓일수록 더 큰 파이를 차지해 왔으나 중소업체 및 개발사들은 먹을 거리가 없어 몸부림 쳐야 했다. 흥행의 속성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참패의 하중은 고스란히 중소기업 또는 개발사에 돌아갔고 사업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로 주변은 돌아보지 않고 오로지 자기 식구들 챙기기에만 급급해 온 일부 메이저의 집단적 행태로 인해 게임계의 풍토는 거의 삭막해 져 버렸다.


 그로인해 산업은 척박해지고 주인 의식은 실종됐다. 공생이란 건 말 그대로 뜬구름 잡는 소리가 됐고 상부상조란 기업협력 관계는 찾아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됐다. 돌이켜 보면 게임계가 양적인 팽창은 거듭해 왔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역주행해 온 것이다.


 게임계의 생태계도 이젠 바뀌어야 한다. 한쪽에 쏠려있다면 다른 한쪽의 마당을 위해 길을 열고 닦아 줘야 한다. 또 불공정한 행위나 집단적 행태가 있다면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정부 기구의 신설도 필요하다. 특히 공정 거래가 이루어 지지 않으면 버텨낼 수 없는 특단의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본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척박한 게임계의 풍토는 갈수록 더 삭막해 질 게 뻔하고 기괴한 기업 관행에 익숙한 일부 게임업체들은 마치 그것이 글로벌 스탠다드인 것처럼 착각, 결과적으로 게임계의 경쟁력을 깎아 내리는 우를 범할 게 분명하다 할 것이다.


  이 기회에 게임계 일부 큰 나무들에 당부하고자 한다. 언필칭 산업계의 맏형답게 행동하고 책임감을 가지라는 것이다. 책무 등은 철저히 외면하면서 자신들의 권리만 주장한다면 아마도 삼척동자도 비웃을 일이다. 게임계에서나 통할 수 있는 논리와 자사 이기주의에 함몰된 기업정책은 재고돼야 마땅하다. 그 것은 제도권의 경제 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에도  맞지않는 일이다.


 공정한 거래. 머지않은 시일 내에 무역 관행의 표준이 될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게임계도 사전에 이를 철저히 준비하고 대비해야 할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보면 이명박 정부의 새로운 화두, 공생발전이란 단어가 결코 나쁘게 들려오지 않는다.          


[더게임스 모인 편집국장 inmo@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