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회에서 ‘인터넷 중독 예방ㆍ치료 기금마련을 위한 기업의 역할 토론회’가 열렸다. 후원은 여성가족부가 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관계자가 참석했고 후원도 했다.


이날 토론회는 주제에서 상당히 벗어난 논의 주장이 꽤 많이 나왔다. 대부분의 패널들이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을 성토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김충렬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원장조차 한쪽 입장 편들기에 나섰다. 김진홍 민생경제정책연구소장은 셧다운제 도입을 위한 기도와 염원(?)하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논의에서 벗어났지만 그나마 이창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가장 사심 없는 이야기를 했다. 그는 싱가포르를 방문했을 때 부모들에게 게임하는 방법을 가르쳐준다는 것에 신선함을 느꼈다고 전했다. 부모가 게임을 할 줄 알아야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할 수 있고 지도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에 대해 놀이미디어교육센터 권장희 소장이 다시 반박했다. 한국 사회에서는 부모가 게임을 배우고 공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대신 게임업계가 과몰입을 걱정하는 부모의 입장을 고려한 시스템 등의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에서 패널들이 모두 동의하고 있는 것이 한 가지 있었다. 바로 청소년들의 게임과몰입에 대한 심각한 우려였다. 패널들은 모두 게임과몰입과 관련되어 일어난 사회적 사건들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게임업계는 이러한 우려, 염려 섞인 사회적 불안감에 대해서 일단 자유롭지 못하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게임업계에 사회적 책임이 필요하다는 말이 나올 수 있다.


그렇지만 업계가 강제로 기금을 마련하는 것이 곧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는 논리는 동의하기 어렵다.


그들은 게임업계가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반대로 가정과 게이머 본인이 져야할 책임은 없는 것일까.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을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모든 책임을 업계에 떠넘기는 것은 안 된다. 일방정인 강요 보다는 상호 책임을 지는 방향의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


[더게임스 박선영기자 pear@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