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게임쇼 ‘지스타’의 차기 개최지를 놓고 일부 지방자치단체간의 유치 경쟁이 그야말로 점입가경이다. 대한민국을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게임쇼로 발돋움한 지스타이기에 그럴 법도 하다.

 

컨벤션 시장의 상품가치나 디지털 콘텐츠의 총아라는 산업적 측면에서 봐도 지자체들이 유무형의 플러스 효과가 막대한 지스타 유치에 욕심을 내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 있다.

 

각종 전시회가 넘쳐나는 서울 코엑스와 달리 지방의 컨벤션 센터의 경우 지스타와 같은 상징성과 흥행성을 두루 갖춘 국제 전시회는 군침을 흘릴만한 대형 이벤트이다.

 

두차례 지스타를 치른 부산의 경우 11월 '지스타시즌'만 되면 호텔, 식당 등이 성업을 이룬다. 부산 지역 전체가 축제 분위기에 휩싸인다. 부산의 대표 문화 아이콘인 부산국제영화제(PIFF)를 능가한다는 얘기까지 나올 지경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부산·대구·경기 등 차기 지스타 유치를 놓고 경쟁하는 지자체들의 유치전이 과열 양상으로 치닫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지스타의 실질적 호스트인 게임업계의 관심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워낙 중요한 사안인 만큼 지스타 개최지 선정을 주관하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역시 당초 선정 일정을 연기하면서 정밀 실사를 준비하는 등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문제는 몇몇 지자체들의 과열 유치전이 ‘지역이기주의의’로 치달을 경우 적지 않은 후유증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다는 점이다. 지스타 브랜드 가치나 성공 개최를 위해 필요한 제반 여건과 사회·문화·산업적 파장 등에 대한 엄정하면서도 정밀한 심사가 지역안배에 밀린다면 큰 일이다.

 

지역균형발전이란 명분을 내세워 지역 안배를 위해 마치 ‘나눠먹기식’으로 지스타를 돌아가며 유치한다는 발상은 위험하다. 자칫 어렵게 쌓아올린 지스타 명성에 큰 흠집을 남길 수 있다.

 

지스타는 온라인게임 종주국 대한민국이 낳은 또하나의 글로벌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문화 가치 확산에 앞서 어느 지역이 글로벌 게임축제를 열기에 가장 최적지인지, 어느 곳이 성공 개최 의지와 능력이 앞서는 지에 대해 공급자 시각이 아닌 수요자 시각에서 철저히 검증해서 개최지를 선정해야 한다. 지스타의 주인은 엄연히 게임업계와 유저들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