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올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진흥원은 올해 제작지원본부를 통해 총 179억원의 자금을 게임관련 사업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45억원에 비해 23.4% 증가한 것이다.


눈에 띄는 사업부문을 보면 새롭게 만들어진 모바일게임센터에 단일 항목으로는 가장 많은  50억원이 지원된다. 다음으로 게임과몰입 예방과 해소에 23억원이 투입되며 차세대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사업에도 44억원이 배정된다. 전체적으로는 지난해 보다 늘어났지만 모바일게임센터를 제외하면 나머지 사업들은 지난해 보다 오히려 줄어들었다. 차세대 게임콘텐츠제작지원 사업의 경우 지난해 70억원에서 올해 44억원으로 26억원이 줄었으며 e스포츠관련 지원금도 대폭 삭감됐다. 


정부가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모바일게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50억원이라는 적지 않은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때문에 꼭 필요한 다른 항목의 사업들이 축소돼서는 안 된다. 진흥원이 올해 콘텐츠사업에 지원하겠다고 밝힌 예산은 200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게임부문에 투입될 예산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콘텐츠진흥원 출범 초기부터 업계에서는 예전처럼 다시 산업별로 진흥원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주장이 나온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진흥원은 지난 해 장르별로 나눠져 있던 조직을 기능별로 나누면서 게임사업본부를 게임산업팀으로 대폭 축소시켰다. 그리고 각 장르별로 이뤄지던 지원사업도 특정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공통기술로 묶어 지원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게임과 직접 관련된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 장르별 사업에서 기능별 사업으로 바뀐지 이제 1년이 넘었다. 1년 만에 그 결과물을 내놓으라고 한다면 성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업계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성과물은 내놓아야  한다. 매년 사업계획을 발표하는 것으로 그치지 말고 지난 1년 간 얼마나 성과를 올렸는지도 분명히 밝혀야 한다. 그래서 효과가 없었다면 과감히 방향을 수정하는 결단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