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게임스 안희찬기자] 3개 콘텐츠 기관의 통합기구인 한국콘텐츠진흥원 설립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2월말 원장 선임, 3월말 업무 개시, 4월 중순 정식 출범의 일정을 향해 숨가쁘게 달려 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한국콘텐츠진흥원 설립의 모법이 되는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개정안이 지난달 14일 국회에서 통과되고 난 통합진흥원 설립 추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부터 통합진흥원 설립을 위한 TFT(테스크포스팀)가 꾸려져 움직이면서 이미 통합을 위한 준비를 한 만큼 예상보다 빠르게 출범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개정법안에 3개월이 지나야 공식 출범이 가능하도록 명시돼 있어 통합진흥원의 정식 출범은 4월14일 이후에나 가능하다. 즉, 조직이 먼저 꾸려지면서 통합진흥원의 업무를 수행하기는 하지만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명칭을 사용한 공식 행사 등은 4월14일 이후에나 가능하게 된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업무 수행을 이처럼 빠르게 진행하는 것은 MB정권에서 상반기 중 예산을 대폭 사용할 것을 권장, 공식 출범 이전부터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안다”며 “출범과 상관없이 3월이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업무가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문화부도 청와대의 의중을 반영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출범을 위해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문화부가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통합진흥원의 업무를 언제부터 시작할 수 있느냐이다. 어차피 출범시기는 법에 정해진 대로 4월 14일 이후에나 가능한 만큼 업무 수행 가능 여부에 초점을 맞춰 진흥원 통합을 준비하고 있다.


문화부는 이를 위해 이전에 3명으로 운영하던 실무 TFT인원을 확충해 본격적인 가이드라인 작성과 일정체크 등에 주력하고 있다. 주로 진흥원이 통합될 경우 업무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정비 등이 주된 내용이다.


 
# 설립위, 위원장 공모 진행


문화부는 시스템 정비 사업과 함께 조직 구성을 위한 움직임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문화부는 지난 9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위원장 선임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될 진흥원설립위원회(이하 설립위원회)를 구성했다. 설립위원회는 지난 11일 위원장 공모를 위한 공고를 낸 상태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위원장 선임이 빠르면 2월말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월말까지는 위원장이 선임되면 부위원장을 비롯한 본부장이 선임돼  3월중순 조직이 꾸려진다. 이렇게 해야 늦어도 4월초부터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합될 진흥원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한국게임산업진흥원 등의 청산절차도 빠르게 진행된다. 문화부는 이번주까지 청산이사회를 개최, 청산인을 선정하고 청산절차에 들어간다. 청산작업은 30일∼45일 가량 걸릴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것은 문화산업기본법 개정안에 명시된 통합될 진흥원들을 청산해야 한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보금자리는 현재 한국게임산업진흥원이 입주해 있는 DMC센터가 된다. 다만 교육본부만 목동 방송회관에 자리를 틀 것으로 보인다. 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아카데미 설비를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전체 조직 200명선


이처럼 문화부가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만큼 큰 그림은 이미 나와 있다. 가안으로 만든 조직체계를 볼 때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기획·정책·방송·게임·문화콘텐츠·교육·R&D·해외본부 등 8개 본부로 구성된다.

 

 

방송본부를 비롯한 게임본부, 문화콘텐츠본부 등은 산업진흥을 담당하게 되고 정책본부와 교육본부, R&D본부, 해외본부는 진흥원별로 갖고 있던 업무를 통폐합시켜 콘텐츠 전반에 걸친 문제들을 다루도록 해 기능적 측면을 부각시켰다.


이처럼 산업별 구분과 조직의 기능을 따로 구분해 조직체계를 만든 것은 기존 진흥원별로 추진하던 사업을 연속하기 위한 일환으로 보인다. 각 본부가 통·폐합되는 진흥원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 업무를 연장하는데 무리가 따르지 않는다. 여기에 콘텐츠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적인 부분을 부각시켜 육성시키기 위한 전략이 숨어있다.


이와함께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 이외에 내부 조직을 관리할 부원장도 따로 두게 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직원은 대략 200명선이 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진흥원장이 내부까지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측 한 관계자는 “진흥원 조직은  산업진흥이라는 측면과 기능적 통폐합을 적절하게 융합해서 그려 본 것”이라며 “하지만 전혀 다른 성격의 진흥원들이 통폐합되는 만큼 물리적 융합 프로그램도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 노조 갈등 등 과제도 산적


문화부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업무개시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걸림돌로 인해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가장 큰 걸림돌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조협의체와의 갈등이다.

 

 

노조협의체는 한국게임산업진흥원·방송영상산업진흥원 노조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협의회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통합진흥원 설립이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협의체를 구성,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미 진흥원별로 노조와 갈등 관계가 지속됐던 만큼 협의체와의 갈등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렇게 될 경우 문화부가 생각하는 일정대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설립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협의체는 문화부가 자신들을 배제한 채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강경하게 대처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등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협의체 한 관계자는 “문화부가 독자적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있는 상태다”며 “통·폐합 과정의 투명성 약속이 이뤄지지 않으면 협의체 차원에서 공동 대응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문제는 각 진흥원간의 인건비 차이를 어떻게 해소하느냐는 것이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과 한국게임산업협회와의 인건비 차이는 많게는 1.5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각 진흥원별로 연봉 테이블이 다른 만큼 이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상태다. 그러나 문화부 입장에서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안을 갖고 있지 못하다. 3개 기관 중 한 곳은 어떤식으로든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이다.


이럴경우 자연스럽게 해당 직원들의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고 통·폐합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조직에서 생활하던 직원들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구축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진흥원별 사내 문화가 다른데 이를 강압적으로 묶으면서 직원들간 갈등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을 만드는 것 역시 통합진흥원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chani71@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