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산업구조 改善 최우선 과제”
플랫폼 불균형 해소에 힘 기울여야…지배구조 다변화도 긴요한 문제로

 

[더게임스 김명근기자] 국내 게임산업은 지난 10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다. 지난 해엔 수출 10억 달러 달성이라는 콘텐츠 산업에 있어선 전무후무한 성과를 일궈내며 효자 산업으로 자리매김 했다. 정부가 게임산업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한 것도 다 이같은 게임의 경제적 효과에 주목한 결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내세운 목표인 게임산업 3대 강국으로 가는 길은 결코 쉽지 않아 보인다. 이제 막 산업으로서 한 자리를 꿰차면서 낳은 구조적 부작용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산업은 더욱 기형적 구조로 발전하게 되고 세계 3강은 더욱 요원해질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국내 게임산업 발전의 걸림돌 중 하나는 산업 구조가 심하게 왜곡되어 있다는 점이다. 플랫폼 불균형도 그 중 하나. PC 온라인에 너무 치우친 나머지 모바일과 콘솔, 아케이드 등 타 플랫폼 산업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있다는 얘기다.


 
# 콘솔·모바일 등에 적극 투자 


이같은 플랫폼 불균형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2008 게임 백서에 따르면 플랫폼 별 시장규모 중 온라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75.1%로 독보적인 수준에 가깝다. 이는 2006년 대비 13.4%나 증가한 수치다. PC온라인이 기술적으로 가장 앞선 플랫폼이라는 점에선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플랫폼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융합 시대엔 뒤쳐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산업계 관계자들은 모바일, 아케이드, 콘솔 등에 대한 기업들의 과감한 투자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맞아 떨어 져야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시장 확대를 위해선 이동통신사에 집중되어 있는 모바일과 저작권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콘솔의 유통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사행성 도박과 불법 개변조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아케이드 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게임빌 송병준 사장은 이에 대해 “모바일 게임의 발전을 위해선 이동통신사 차원에서 합리적인 무선 요금제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에서도 합리적 경쟁 시장을 구축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양극화의 악순화 고리 끊어야


플랫폼 뿐 아니다. 전체적 산업 지배구조가 자본력을 갖춘 일부 대형 퍼블리셔들에게 국한되면서 양극화가 심각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업체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해외 기업의 한국 시장 진출이 빈번해지면서 거대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시장 잠식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문화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07년 국내 매출액 중 상위 10대 기업의 비중은 45.7%, 20대 기업은 54.7%, 30대 기업까지 포함한 기업 비중은 59.8%에 달한다. 또 총 2000여개의 게임 제작 배급사 중 100억원 이상의 매출 기업은 단 22개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같은 산업 구조 양극화가 결국 인력 수급 불균형과 투자 불균형을 만들어 내고 악순환의 고리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시장 지배구조를 다변화 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우선 거대 퍼블리셔들은 게임 산업의 생태계를 위해 개발사와의 관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개발사를 단순한 하청업체가 아닌 동반자적 상생 관계에 있다는 점을 상기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정부도 거대 업체들과 힘겨운 경쟁을 하고 있는 중견업체들을 위한 펀드를 구성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넥슨 민용재 이사는 “시장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해선 개발사와 퍼블리셔 간 신뢰할 만할 파트너십 관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사와의 실질적인 협업 체제 강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 구체적 실천 뒷받침 필요


국내 게임산업은 이처럼 빠르게 진화하면서 그 구조가 왜곡됐다. 이를 조기에 바로 잡지 않는다면 국내 게임산업을 세계 3강 안에 진입시킨다는 계획은 요원할 것이란게 업계 관계자들 한결같은 지적이다.


반대로 산업구조의 변화만 이끌어낸다면 게임 산업은 한국의 차세대 먹거리로서 성장할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게임산업 중장기 계획 ‘세컨드 레볼루션’도 제도적 뒷받침 뿐 아니라 산업 구조의 변화를 끌어냄으로써 세계 3대 게임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플랫폼 별 역량 강화 지원, 중소 업체를 위한 해외 수출 지원, 플랫폼 별 합리적 유통 서비스 제도 개선 등이 그것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이에 따른 구체적 액션 플랜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이 정부의 게임산업 중장기 계획을 환영하면서도 한편으론 우려섞인 목소리를 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부가 제시한 세컨드 레볼루션의 골격을 보면 대부분 지금껏 게임산업이 안고 있었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면서도 “구체적 액션 플랜이 수립되어 있지 못한 인상을 남기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dionys@thegames.co.kr

 


| 기고­-바이넥스트창업투자 박재민 부장 |

 

“산업 전반 새 패러다임 짤 때”
개발사 기업 운영 부문에 신경써야…전문투자심사역 양성 필요

 

지난 10여년 동안 한국게임산업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진출을 통하여 뛰어난 우수성을 널리 떨쳐 왔다. 그럼에도 최근 국내 온라인 게임에 대한 장기 발전 측면에서 많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산업 전반에 대한 패러다임이 새롭게 정립될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각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먼저 개발사의 경우 짧은 기간 게임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다보니 몇몇 대형업체를 제외하고는 개발 이외의 회사 운영(조직관리/자금/회계/법률)부문에 크게 신경을 쓰지 못했던게 사실이다. 회사조직이 10명 이내의 소수인원일 경우엔 큰 문제가 없으나 규모가 커질수록 개발진을 포함한 직원의 관리, 회계처리, 자금관리 등 체계적인 회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물론 게임 개발이 가장 중요하지만 국내시장을 벗어나 글로벌경쟁시장에서 승부를 보고자 하는 현 상황에서 이를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 개발사 CEO들은 설립초기 회사 사정을 고려해 해당 분야 전문가를 영입하는 것이 좋다. 

 

만약 그럴 여유가 없다면 항상 안테나를 높여 회사 경영에 합류시킬수 있는 인재를  사전 확보하는 준비가 필요하다. 삼성을 비롯한 글로벌대기업들이 우수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는 점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반면, 퍼블리셔는 개발사와의 관계 재정립에 신경을 써야한다. 국내 퍼블리셔들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게임 포털로 통칭되는 사업모델을 확보했다. 이젠 전체 게임 산업의 틀 속에서 퍼블리셔가 기여할 바를 찾아보아야 한다.

 

퍼블리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계속해서 우수한 게임을 개발하는 개발사의 저변이 확대되고 그 구조가 안정적이어야 한다. 즉, 퍼블리셔와 개발사는 서로 공생하는 구성원이어야 한다.


최근 일부 퍼블리셔가 개발사들과의 워크샵 등을 통해 거리를 좁히고 협력의 길을 찾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일들이 좀더 일반화되어 개발사와 퍼블리셔의 진정한 파트너 관계가 정립될 수 있기를 바란다.


투자자들이 할 몫도 있다. 엔젤투자자를 비롯한 많은 기관투자가(창투사 등)의 투자가 현재 게임 산업이 자리잡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것은 부인할수 없는 사실이다. 다만, 개발사 및 퍼블리셔가 피부로 느낄수 있을 정도가 아니어서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산업을 제대로 이해하는 전문투자심사역의 양성이 필요하다. 또 이를 통한 지속적이고 안정적 게임전문펀드의 설립과 유지가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1~2년 사이 5년 이상 명맥이 끊어졌던 게임전문펀드가 설립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정부는 게임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게임은 수출액이 10억달러를 달성하는 등 국내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큰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했다.

 

최근 관련부처의 사업계획에 게임산업에 대한 여러 지원책이 포함되어 있는 점은 게임산업구성원들에게 위안을 안겨주고 있다. 이런 계획이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이행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덧붙여 그 계획과 지원책들에 현장의 소리를 반영해야 한다.

 

love@binext.com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