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된 정부통신부의 게임 관련 기능과 조직이 방송통신위원회·지식경제부·문화관광체육부 등 세 곳으로 분산 흡수되면서 참여정부 때의 몇몇 부처간에 벌어졌던 ‘밥그릇 싸움’이 또다시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당장 정통부의 지휘감독을 받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의 근거법과 이에 따른 KIPA의 몸통 자체가 지식경제부 산하로 들어감에 따라 지경부의 게임업계에 대한 영향력은 과거 산자부 시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지게 됐다.
  현재 정통부와 KIPA의 게임 관련 기능과 조직은 문화부와 산하기관으로 이관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상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온라인 게임과 연관성이 매우 높은 일부에 국한할 뿐 상당 부분은 지경부와 방통위로 넘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종합 예술’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 게임산업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게임 관련 모든 업무를 문화부가 독식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참여정부 당시 정통부만 상대해온 문화부로선 지경부와 방통위에 맞서야할 형편이다.
  해법은 하나 뿐이다. 게임 등 문화콘텐츠 전반에 관한 업무를 문화부에 모두 이관하는게 물리적으로 어렵다면, 적어도 청와대가 범정부 차원에서 힘을 실어주는 길 뿐이다. 부처간 정책 조정기능을 맡아온 국무조정실 마저 대폭 축소된 마당에 부처이기주의까지 개입된다면, 정책이 제대로 입안될 리 만무하다. 어떤 이유에서든 더이상의 게임 주무부처 논란이 생겨선 안된다. 그렇게되면 산업도 위축될뿐더러 실용정부가 내세운 문화산업 선진화에도 구멍이 생길 것이 뻔하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