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고위층들이 잇달아 게임계를 방문,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나섰다. 이같은 움직임은  일단 두가지 관점에서 매우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 첫번째 이유로는 새 정부가 의기소침해 있는 게임계의 산업적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는 점이고, 다른 또 한가지는 실용정부의 기치를 내건 이명박 정부의 경제 기조를 다시한번 읽어볼 수 있게 해 줬다는 점에서 그렇다.
   새삼스러울 것도 없이 게임계는 지식산업의 대표적인 킬러 콘텐츠를 만들고, 수출산업에 지대한 역할을 해 왔다. 그런데도 불구,말그대로  ‘미운 오리새끼’의 취급을 받아왔다. 금융 세제 혜택 커녕 규모에 걸맞는 대우도 받지 못했고, 그도 모자라 ‘아이돌 산업’이라며 그 가치를 깎아내리려는 움직임에 시달려 왔다.
 여기에다 게임계와 전혀 상관 관계 없는 ‘사행성 오락기의 파문’을 업계에 덧칠, 게임인들의 명예와 자긍심을 뒤흔들어 놓았다. 시장 경제원리로만 본다면 참으로 억울한 일이 비일비재했다.
  산업의 자생력이 뛰어났기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벌써 사라졌을 판이다. 지원은 없고 규제만 득실거리는 풍토 속에서 산업을 일구고 콘텐츠 수출의 선봉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는 것은 어찌보면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그런 가운데 보수적 색채의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되자, 업계는 솔직히 좌불안석이었다. 그런 표정을 읽고 산업계를 달래고 진화에 나선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규제기관이라 불리는 게임위원회였고 그 위원회의 수장이었다.
 예측 불가능한 시장상황은 경영활동에 제약이 따르기 마련이다. 투자는 물론 지출을 억제할 수밖에 없다. 이는 산업 경제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게임계를 다독거리고 격려하고 나선 것은 이명박 실용정부의 기치를 한껏 내다 본 조치다.
 솔직히 경제 살리기와 수출 드라이브를 위한 방책은  지식산업 육성외 더 이상의 처방전은 없다할 정도다. 지구 생태 환경 보호 등과 관련한 각종 국제 규약과 연관돼 있는 굴뚝산업으로는 해 볼 재간이 없다. 그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게 게임을 비롯한 콘텐츠산업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영화산업은 불황에 허덕이고 있다. 한류바람으로 버텨보고 있지만 풍전등화의 형국이다. 지난해에는 최악의 실적을 나타냈다.
   음반산업도 별반 차이가 없다. 관건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느냐의 여부인데, 음반산업은 그것과는 사뭇 거리가 멀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내수 지키는 것만으로도 선전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도 없지 않다. 방송과 캐릭터 산업은 아직 걸음마 수준일 뿐이다.
 그렇다면 답은 다름아닌 게임이다. 경쟁국들이 거세게 따라오고 있지만 온라인 게임은 우리가 세계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는 콘솔 플랫폼과는 달리 해마다 팽창하고 있는 성장 플랫폼쪽이다.
  실용 정부를 지향하는 이명박정부가 이를 제대로 바라봤다고 본다. ‘흑묘백묘’ 논쟁을 떠나 지금은 성장동력의 축을 마련할 때다. 그 이면의 그늘만 생각하고 있다가는 낙오할 수 밖에 없다. 시장원리가 그렇고 세계 경제가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여기서 머뭇거리다가는 죽도 밥도 어렵다.
 산을 끝까지 지키는 나무는 곧게 뻣은 빼어난 자태의 나무가 아니라 등이 굽은 못생긴 나무라고 했던가. 이명박 정부가 게임산업을 통해 산업의 맥을 정확히 짚어 냈다면  다행스런 일이라고 생각한다. 지금부터라도 경제원리는 지켜져야 한다. 그 것은 다름아닌 민생과 경제에 보탬이 되는 산업에 힘을 집중하라는 것이다. 
 inmo@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