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e스포츠협회 산하 ‘등록위원회’가 이달 말까지 28개 공인종목에 대해 자격유지 심사에 들어간다고 한다. 최근 1년간 공인대회 또는 각종 e스포츠 대회 유치 현황을 조사해 자격에 미달하는 종목은 공인종목에서 제외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분명 환영할 만한 일이다. 오히려 너무 늦었다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단순히 실적없는 종목을 추려내 없애는 것으로 협회가 할 일을 다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지금의 공인종목 제도는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공인종목으로 선정돼도 크게 달라질 것이 없기 때문이다. e스포츠의 가능성을 인정받는 것과 프로게이머가 탄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 외에 실질적인 지원은 하나도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공인종목으로 선정돼도 대회를 개최하기 위해선 종목으로 선정된 게임 개발사가 직접 돈을 투자하거나 스폰서를 찾아야 한다. 게임업체들로선 버거울 수 밖에 없는 일이다.
 
 물론 정부가 특정 종목을 지원하는 것은 일부 업체에 특혜를 주는 일이 될 수도 있다. 또 공인종목으로 선정되지 못한 타 업체들의 반발도 심할 것이다. 그러나 이름뿐인 공인종목 선정이라면 하나 마나한 일이다. 이 때문에 28개에 달하는 공인종목이 있어도 개발사나 퍼블리셔가 탄탄한 몇몇 종목을 제외하면 유명무실하게 된 것이다. 단순히 공인종목으로 인정해 줬다는 것만으로는 제도의 취지인 e스포츠 저변확대나 종목 다양화를 이뤄내기 어렵다.
 
 얼마전 만난 문화관광부 한 관계자는 게임산업발전을 위해서 1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국산게임을 이용한 글로벌 리그를 개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당시 관계자는 특혜 논란을 없애기 위해 관련 전문가들을 통해 종목을 선정하겠다고 언급했다. 바람직한 발상이다. 하지만 대외적으로 보여지기 위한 행사로 그친다면 업계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안될 것이다.
 
 이제야 말로 e스포츠 저변확대와 종목 다양화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때다. 문화부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건전한 여가생활을 위해 교육부와 관련기관들이 힘을 합쳐 제대로 된 e스포츠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