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가 북미·유럽 진출에 바싹 고삐를 당기고 있다. 요즘 주요 게임업체의 최고 화두는 ‘글로벌’이며, 그 글로벌 전략의 핵심에 북미·유럽이 있다. 중국·일본·대만 등 아시아 시장에 비해 실리는 떨어지지만, 세계 무대 진출을 논하면서 아시아에 안주할 수는 없는 탓이다. 최근 업계 일각에선 아예 북미·유럽 시장에 초점을 맞춰 신작을 기획하는 업체까지 등장할 정도다.
 
  사실 북미·유럽은 게임시장의 본고장이나 다름없다. 컴퓨터 게임의 진원지이기도 하지만, 세계 게임 트렌드를 리드하고 있고 또 가장 광활한 시장이기도 하다. 북미·유럽을 빼놓고 ‘게임강국’ ‘종주국’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만큼 그곳은 우리 업계가 필연적으로 넘어야할 산이다.
 
  그러나 산이 높으면 오르기가 힘든 법이다. 거대한 산과 같은 북미·유럽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것은 말처럼 그리 녹록지 않다. 진출하겠다는 의지만 갖고 이뤄지는 게 아니다. 비록 국내에서 메이저업체로 분류된다 해도 게임 본고장에선 중소기업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철저한 사전 준비없이 진출했다가는 낭패보기 십상이다. 더욱이 게임은 현지 인프라와 국민 정서에 부합해야만 진입하기 쉬운 대표적인 문화상품이다.
 
  그래서 북미·유럽 시장 공략은 해당 업계의 힘과 노력만으로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정부와 관계 기관의 입체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 풀가동하지 않고서는 단기간에 큰 성과를 보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업계의 글로벌 시장 전략의 타깃이 북미·유럽 쪽으로 옮아가고 있는 것에 맞춰 이젠 게임산업 지원 정책의 중심 역시 본고장인 북미·유럽에 맞춰 시스템을 다시 짜야할 때가 됐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