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몇 연예인들이 게임과 IT업체에 병역특례로 근무하면서 규정을 지키지 않아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선 게임업계에 배정되는 병특요원의 수를 줄이는 등 강력한 대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도 잘못이 있는 만큼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이견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일방적으로 게임업계를 몰아붙이며 지나치게 규제 하려는 데 대해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강경조치가 자칫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모양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세한 게임업체들의 입장에서 병특요원은 가뭄의 단비처럼 고맙고 필요한 인력들이다. 이들로 인해 부족한 일손도 채울 뿐 아니라 경비도 절감해 그야말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톡톡이 보아왔다. 그런데 몇몇 업체들의 비리로 인해 업계전체가 매도당한다면 병특인력에 크게 의존해 왔던 많은 영세업체들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창업 초기 어려운 시절 능력있는 병특요원들을 채용해 기반을 닦은 중견업체가 하나 둘이 아니다. 이처럼 병특제도는 게임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왔다. 이러한 제도를 일부 업체들의 비리로 축소시킨다는 것은 지나친 감이 있다.
 
  정부에서도 영세업체들의 어려운 사정을 감안해 이 제도를 오는 2012년까지 연기키로 한 만큼 그때까지만이라도 보다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제도를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또 병특요원 선발과정도 보다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다시 한번 작은 것에 얽매여 큰 것을 잃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당부한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