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를 비롯해 우림, 대림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게임시장에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다. 우림과 대림은 게임사업 진출을 위한 로드맵을 완성했고 신세계도 개발사들과 물밑 접촉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대기업들이 너도나도 게임산업에 적극 뛰어드는 것은 한마디로 ‘돈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게임 업계 입장에서 대기업이 게임사업에 ‘올인’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게임 콘텐츠에 대한 투자가 봇물을 이뤄  반사이익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막강한 자본과 마케팅을 보유한 대기업이 게임산업의 구조를 바꿀 수도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갖는다.
 
 하지만 현실은 꼭 그렇지만 않은 것 같다. 업계의 지인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기업의 게임 분야 진출에 대해 업계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지금까지 대기업들이 게임 시장에 진출한 사례를 들여다 보면 득보다 실이 크다는 지적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H그룹, D그룹, S 그룹 계열의 대기업들이 게임 사업에 뛰어들었다. 전부는 아니겠지만 이들 대기업의 상당수가 투자나 산업 활성화에 큰 도움을 못줬다는 것. 일부 대기업은 업계의 단물만 빼먹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 탓에 업계는 대기업의 게임사업 진출이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일 공산이 크다는 생각을 한다. 업계 일부에서는 주가 부양을 위한 목적으로 게임 진출을 선언한다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제 새롭게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대기업들은 이러한 업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대기업들이 단순히 게임산업 진출을 매출 다변화를 위한 방안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물론 대기업 입장에서 매출 확대는 고유의 선택 사항이다. 하지만 게임업계가 대기업에게 거는 기대도 있다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 막강한 자본과 뛰어난 인력을 갖고 있는 대기업인 만큼 게임산업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고 뼈대를 만드는데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지금부터라도 게임 산업계 특유의 구조와 고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서 이를 실천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 대기업이 게임 산업계에서 성공하는 동시에 업계와 윈윈할 수 있는 길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