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물등급위원회(게임위)의 부산 이전 추진은 ‘국가 균형발전’이란 명분 아래 비롯된 것이란 점에서 이해할 수 있지만, 산업의 특수성을 무시한 탁상행정의 표본이란 지적을 면키 어렵다. 게임산업은 대표적인 21세기형 지식기반산업이다. 타 업종과 달리 사람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무려 95% 이상의 게임 업체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돼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대부분이 중소·벤처기업이란 점도 산업의 고유한 특징이다. 관련 업계가 이처럼 수도권에 밀집돼 있는데도 비즈니스 성격상 뗄래야 뗄 수 없는 게임위를 먼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히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 게임위 이전이 지방 게임산업 발전을 유발할 것이란 논리도 결국 공급자 중심적 사고일 뿐이다.
 
 주요 행정 업무를 온라인으로 처리하면 크게 문제될 게 없다는 발상도 위험하다. 심사의 전문성과 졸속심사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될 것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게임위가 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에서 떨어져 나왔으니 영등위와 함께 부산으로 가야한다”는 일각의 주장 역시 게임과 영화산업의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넌센스에 불과하다. 등급 위원을 비롯해 상당수의 전문 인력이 비 상근직인 게임위의 조직 특성도 간과해선 안된다.
 
 국토 균형발전이란 명분도 중요하지만, 산업의 경쟁력 역시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 게임위의 부산 이전은 행정 낭비를 최소화하고 행정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원에서라도 심도있는 재검토가 이루어져 하고 그래야만 맞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