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물등급위원회(이하 게임위)가 2002년 이후 서비스되고 있는 모든 게임물에 대해 1월 말까지 재심의를 신청토록 함에 따라 업계에선 지금 한바탕 소동이 일고 있다.
 
  게임위가 워낙 강력히 추진하는 일이라 우선은 따라가겠다는 분위기지만 그 속을 들여다 보면 무척이나 곤혹스러워 하는 모습이다. “게임위가 왜 이러나” 하는 불만의 목소리도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해 말 게임위가 출범할 때 업계는 숙원사업이 이뤄졌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그동안 게임물 심의를 맡아왔던 영상물등급위원회(이하 영등위)가 업계로부터 너무 엄격하고 일방적이란 평가를 들어왔기 때문에 새 출범한 게임위는 어느정도 업계의 정서를 반영해 줄것으로 믿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영등위보다 더 가혹한 게 아니냐는 것이 업계의 반응이다.
 
  게임위의 방침에 업계는 ‘업계 길들이기’ 차원이 아니냐며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불만이 속출하면서 게임위가 기존 영등위와 별반 다른게 없지 않느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도의 칼’을 무기로 업계에 일방적인 강요만 하는 모습이 과거 영등위와 똑같다는 것이다. 
 
   이런 업계의 반응에 대해 게임위는 관계 법률을 근거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사안을 냉정히 들여다 보면 의도는 좋지만 방법론에 있어선 좀더 심사숙고해야 하지 않았나 묻고 싶다. 이번 재심의가 그동안 영등위에서 지지부진했던 패치 심의를 시행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을 이해못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문제는 게임위가 이 과정에서 업계에 의견청취도 없이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는 데 있다. 물론 법정기구인 게임위가  업계의 의견을 듣고 판단해야 할 입장은 아니다. 하지만 재심의의 경우 15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등 업계 전체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않다. 그렇다면 업계의 의견을 사전에 들어보는 등 절차적인 호흡을 서로 가다듬는게 나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업계의 편에 서지 않더라도 사안자체가 경미한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업계의 목소리를 더 경청하고 고민했어야 하지 않았냐는 생각이다.
 
  새 술을 헌 부대에 담으면 찢어지고 만다. ‘게임위’라는 새 술도 하루속히 헌 부대를 벗어나 새로운 부대에 담겨져 그 맛을 내기를 바란다. 일방적인 자세는 우월적 지위를 앞세운 권위적인 행태 그것과 다름 아니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