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스타·비주류 인생들의 화려한 비상기
 
1981년 8월 1일 미국의 MTV가 개국하면서 처음으로 쏘아 올린 노래가 영국 출신 그룹 ‘더 버글스’의 ‘Video Killed The Radio Star’였다. 시각적 영향력이 청각적 수단을 압도하는 현대 대중문화의 향방을 예언적으로 노래한 이 곡이 뮤직비디오 전문 채널인 MTV의 첫 곡으로 선정된 사실은 매우 시사적이다.

그렇다면, 이제 라디오는 죽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후반 이후 1가구 1TV가 보급되면서 대중문화의 TV 지배현상이 가속화되었다. 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는 비디오, 케이블 TV, 위성 TV, 인터넷 등 뉴미디어가 등장했고, 이제 청각적 전달매체인 라디오는 추억의 골동품으로 박물관 속에 전시되는 문화적 유품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라디오는 살아남았다. 라디오의 생명력은, 오히려 단점이라고 생각되었던 청각적 수단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발휘되었다. 예를들면, 밤낮으로 직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시선을 업무와 관련된 곳에 고정해야 되지만, 귀는 항상 라디오를 향해 열어 놓으며 업무의 중압감과 스트레스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했다.

‘라디오 스타’는, 비디오 시대의 핵심 권력인 영화에서 추억의 라디오 매체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소재의 신선함이 발견된다. 왕년의 스타 안성기·박중훈 콤비를 ‘왕의 남자’의 이준익 감독이 다시 부활시킨 따뜻한 휴먼 드라마다. 박중훈은 1988년 가수왕을 먹은 왕년의 스타 최곤을, 그리고 안성기는 20년동안 그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매니저 박민수를 연기하고 있다.

이제는 한물간 스타에 불과한 최곤은 여전히 과거의 인기에 연연하는 철없는 가수다. 그는 한때 폭행 혐의로 경찰서에 간 전력도 있고 사생활의 불협화음으로 스포츠 신문 1면을 장식한 적도 여러차례다.

그런 최곤을 매니저 박민수는 손가방을 들고 데뷔 때부터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돌봐준다. 자장면을 먹을 때도 매니저가 먼저 젓가락으로 면과 자장을 잘 섞어 주어야 식사를 하는 등, 연예게 일상의 섬세한 묘사가 ‘라디오 스타’에 사실성을 부여했다.

이 작품은 매우 소박한 작품이다. 한물간 왕년의 스타가 어쩔 수 없는 사정에 의해 지방으로 내려가 라디오 방송 DJ를 하다가 진솔한 방송으로 의외의 인기를 얻고 다시 부활한다는 내용은, 전형적인 루저의 성공담이다. 그 내용이 너무 소박하고 유치하기까지 해서 과연 이런 소재가 영화로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을까 걱정이 될 정도다.

그런데 이준익 감독은 ‘왕의 남자’의 대박이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는 것처럼 잘 짜여진 연출력으로 별 것 아닌 소재를 특별한 것으로 만들어 놓았다. 물론 여기에는 안성기와 박중훈 두 콤비의 좋은 연기가 밑받침이 되고 있지만, 섬세하고 힘 있는 연출력이 두드러지게 느껴진다.

영웅의 부활이라는 전형적인 신화적 원형구조를 모방하고 있는 이 영화는, 소박하면서도 우리의 가슴을 움직이는 진정성이 살아 있다.

왕년의 스타 최곤이 낙향하기까지, 그리고 강원도 영월 방송국의 라디오 방송 DJ를 통해 재기하는 과정, 재기 후 매니지먼트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갈등의 구조로 영화는 짜여져 있다. 영월 지역 밴드로 등장하는 노브레인의 연기가 과장되어 있고, 또 아마추어리즘을 지나치게 드러내긴 하지만 그것 조차도 오히려 이 영화의 진정성과 순박성을 돋보이는 구실을 한다.

영월 방송국 국장은 하루 빨리 인근 원주 방송국과 통합되기를 기다리고 있고, 담당 피디는 생방송 사고를 일으켜 원주에서 영월로 좌천되어 온 여성이다. 엔지니어는 너무나 오랫동안 기기를 작동하지 않아서 어떻게 기기를 만지는지 잊어버렸을 정도다.

거기에다 프로그램 진행자는 이제는 대중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버린 왕년의 스타다. 마치 ‘공포의 외인구단’처럼 주류 문화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힘들고 어려운 과정을 거쳐 다시 주류로 복귀한다는 부활 스토리는, 항상 대중들의 지친 마음을 위로해준다. ‘라디오 스타’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오히려 그 소박함의 미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영화평론가·인하대 겸임교수(s2jazz@hanmail.net)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