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300만 명의 주민이 사는 지자체다. 또 주요 대기업들이 대부분 경기도에 밀집해 있다. 게임업계도 판교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규모가 큰 기업들이 이곳에서 둥지를 틀고 있다.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메카가 바로 경기도에 속해 있는 것이다. 

서울과 인접해 있어 우수한 자원과 인력을 확보하기 쉽고, 지리적으로도 가까워 판교 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 게임업체들이 자리하고 있다. 그 때문인지 경기도에서는 오래 전부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산하기관을 두고 운영해 왔다. 그 대표적인 기관이 경기문화콘텐츠진흥원과 성남산업진흥원 등이다. 

그러나 경기도의 지원책을 보면 그렇게 특별한 것이 없다. 입주 업체에 대한 임대 지원 및 전시회 지원 등이 고작이다. 그나마 최근들어 e스포츠 육성사업을 확대하고 경기게임문화센터(가칭)를 설립키로 한 것 등은 다행이라 하겠다.

경기도는 지난해 중소 게임기업 지원과 e스포츠 육성사업을 위해 2022년까지 533억 원을 투자하는 내용의 ‘ 게임산업 육성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올해에는  '경기 e스포츠 육성계획'을 보다 구체화해 내놨다. 이 육성계획에 따르면 ▲경기 국제 e스포츠대회 참가국 확대 ▲가족 e스포츠페스티벌 규모 확대 ▲아마추어 유망주 지속 지원 ▲연관산업 종사자 육성사업 교육지역 확대 등을 추진키로 했다.

또  건전게임 문화 확산을 위한 경기게임문화센터(가칭) 설립도 추진키로 했다. 센터는 게임 과몰입이라는 사후적 현상에 접근해 상담·치료에 중점을 두기보다 적절히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사전 예방 방식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경기콘텐츠진흥원 내 게임문화팀을 신설하는 등 전담조직을 만들었고, 향후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사업계획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종합해 보면 경기도가 과거와 다른 게임 정책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  분명한 것 같다.

그간 경기도의 게임 정책은 선제적인 조치보다는 정부 정책에 발 맞추는 정도의 후순위적 성격이 짙었다. 업계가 아쉬움을 드러낸 것은 바로 이 점이다. 게임의 메카를 둘러싸고 있는 도에서 정부와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에도 정부의 뒷모습만 보고 따라가는 장면만 연출해 왔다는 것이다.   

그렇다. 경기도가 이젠 명실상부한 게임산업의 본산을 업고 있는 지자체로서의 면모를 보여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형식적이고도 체면치레성 정책 지원에서 벗어나, 보다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정책 개발 및 발굴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를위해 정책 자문기구 등을 신설해 도가 추진하려는 게임산업지원책을 사전 조율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경기도가 경자년 새해, 새롭게 거듭나는 게임 산업정책을 발굴, 지원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