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을 포함한 콘텐츠산업 경쟁력의 핵심은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인재다. 우수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해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게임인재원 특강에서 이 같은 말을 했다.

그간 업계에서는 게임산업 인력 부족을 지적해 왔던 만큼 박 장관의 해당 발언에 크게 환영하는 뜻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단순히 인재를 육성하는 것만이 아니라 게임산업 인력의 노동환경 개선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실제 최근까지 게임업계 노동환경은 가혹하기로 소문이 나있었다. 크런치 모드, 포괄임금제 등으로 열악한 근무환경이 조성됐던 것.

근래에는 그나마 개선이 이뤄진 편이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특정 업체들이 등대, 불기둥, 오징어잡이배 등의 별명으로 불렸고 일반 직원들의 자살, 과로사 소식 역시 자주 알려졌었다. 현재에도 다수의 업체들이 쉬쉬하는 편이지만 업계 근로환경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단순히 게임인재만을 육성하는 것은 산업의 인력부족을 해결하는데 제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 많은 인재들이 육성돼도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게임산업을 빠져나간다면 그야 말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꼴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국내 게임업계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소문이 난다면 굳이 인재를 육성하지 않아도 서로 앞다퉈 지원하지 않겠냐는 설명이다.

물론 근무환경 개선의 경우 정부보단 개별업체의 노력이 필요한 부문이다. 또 중소업체들이 어려운 시장상황으로 인해 인건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단순히 인재만을 육성하기 보다는 근무여건 및 환경 개선에도 힘을 써줬으면 한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정부가 내년 50~299인 규모 중소업체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를 1년 유예한 것과 모든 기업에 일시적 업무 증가량 폭증을 특별연장근로 사유에 포함시킨 점은 다소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실제 해당 내용이 알려진 이후 다수의 일반직원들은 게임업계 근로환경이 이전으로 돌아설지 우려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근로환경 문제의 경우 노사간의 입장차가 워낙 클 수 밖에 없는 문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단순히 게임산업 인력만을 육성하는 것이 아닌, 일반 직원들과 각 업체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지원책을 제시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게임스 강인석 기자 kang12@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