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이때 쯤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국정 감사가 시작됐다. 조국 법무부 장관의 거취 문제를 놓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다른 현안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멀어지고 있다. 그 때문인지 일각에선 벌써부터 반쪽 국감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다행이 게임산업의 경우 이렇다할 이슈도 없고 정치적인 연관성도 없다는 점에서 이번 국감에서는 큰 주목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인기에 영합한 한탕주의나 망신주기 관행까지 사라지면 좋겠으나, 안타깝게도 국회 분위기를 보면 기대했던 그 방향으로는 흘러 가는 것 같지는 않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가 주요 게임업체들의 대표들을 이달 하순께 국감장으로 불러낼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방침은 과거에도 있어 왔고, 게임산업에 대한 비중이 점차 높아지면서 더 잦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새삼스럽다 할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게임계 인사를 불러다 놓고 제대로된 국감 증인으로서 의견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훈계하듯, 죄인 다루듯 고압적인 태도로 이들을 다룬다는 것이다.

실제로, 과거 게임산업협회장을 역임한 김 모 사장은 국감장을 다녀온 이후, 그 트라우마로 인해 사직했고, 또다른 김 모 회장도 국회를 다녀온 이후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지난해 국감장에 불려간 김택진 사장은 그나마 국회에서 예우를 갖춘 케이스에 속한다는 평이 나왔다.

국회에서 게임산업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매우 반가운 일이다. 게임계의 현안이 대부분 법제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이 그렇고, 그만큼 게임에 대한 사회의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험적으로 보면 한번도 좋은 일로 불려 나간 적이 없다는 것이다. 또 국감 증인들을 마치 죄인 다루듯 호통치고 훈계하는 일은 거의 다반사가 됐다.   

이젠 국회도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특히 국감장의 모습을 보면 과거의 그 것과 많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구태는 여전하다는 게 국민들의 생각이다.  호통보다는 논쟁을 벌어야 하며, 증인 망신주기는 자신들의 몫이 아니라 국감을 통해 바라본 국민들의 입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명심했으면 한다.

산업의 역사가 아직 일천한 게임산업계에 대해 마치 제도권의 그것처럼 한꺼번에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어긋날 뿐 아니라 가당치도 않았다는 점을 유념했으면 한다. 특히 선량들의 한건주의에 의해 기업인들이 불려 다니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게임계는 그냥 그대로 놔두는 것이 제도권에서 도와주는 일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