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한국 게임에 대해 판호를 발급해 주지 않는 등 그동안 몽니를 부려왔던 배경이 드러났다. 중국은 최근 게임에 대한 강력한 규제책을 골자로 한 새 판호 발급 규정을 발표했다. 이는 한국 게임 뿐만 아니라 자국 게임에도 적용된다는 점에서 중국의 게임 정책 방향을 읽어볼 수 있다 하겠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번 새 판호 정책을 통해 당분간 게임 진흥에 대해서는 뜻이 없음을 공표한 것이다.  

중국 당국이 내세운 새 판호 기준은 유혈 표현, 영어 제목, 미신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전면 금지토록 하고 있다. 이에따라 유혈 표현 등은 과거 국내에서 그랬던 것처럼 초록색으로 채색되거나 다른 색으로 꾸며질 것으로 보여진다. 영어 제목도 그대로 쓸 수 없다. 따라서 유명 게임이라 할 지라도 새롭게 중국식으로 이름을 달아야 판호 발급을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같은 방침은 표면적으로는 갈수록 늘고 있는 청소년 게임 마니아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론 게임 유통을 지금까지 하던 대로 민간에게 맡겨 두지는 않겠다는 정책 당국의 다른 뜻도 엿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중국당국은 이에앞서 여러차례 게임규제에 대한 불가피성을 알리는 시그널을 언론을 통해 노출시켜 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청소년 시력 저하 문제의 지적이었다. 이후 판호 발급 수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중국 당국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비행 청소년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 그들도 우리처럼 게임을 그 핵심의 주범으로 몰고 있다. 그러나 그 것도 그 것이지만 게임을 비롯한 콘텐츠 무역구조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게임의 경우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중국 당국은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제조부문의 무역 흑자를 게임 등 대중 문화 콘텐츠 수입을 위해 써야 할지도 모른다는 엄살섞인 지적까지  나왔다 한다.     

이러한 영향 때문인지, 그 잘 나가던 중국의 최대 게임업체인 텐센트마저 경영실적이 악화, 주가에 마저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베일에 가려져 온 그들의 판호 규정이 드디어 드러났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이를 위기로만 볼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가 주어진 것이라는 생각도 동시에 해야 할 것이란 점이다. 우리는 과거 정권을 통해 유혈 표현 및 영어제목 바꾸기에 대한 학습을 충분히 해 왔다. 검열이라는 것이 기분 나쁘지만 그 부문에 대한 노하우도 우린 갖고 있다는 것이다.

게임에 대한 검열이 이뤄진다는 것이 기분 나쁜 일이긴 하지만, 중국 시장은 우리가 외면할 수 없는 거대한 수요처다. 중국당국의 일부 요구사항은 충분히 받아 들일 수 있는 부문이다. 

자유무역을 강조해 온 중국 당국이 때 아니게 게임 등 콘텐츠에 대한 규제책을 들고 나온 데 대해 그 배경이 궁금하지만 게임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지금이라도 나왔다는 것만으로도 의미는 있다 할 것이다.    

중국 당국의 태도가 또 어떻게 변할 지 알 수 없지만, 지금이라도 다시 호흡을 가다듬고 시장 뚫기에 나섰으면 한다. 그냥 외면해서 될 일이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전력투구하는 게 정답이다. 지금 중국 게임시장이 그런 곳이라면 말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