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야, 문체부야, 문광부야'

문화체육관광부의 약칭을 놓고 일반인은 물론 일부 언론에서 조차 갈피를 못잡고 있다. 정식 이름을 두고 이처럼 약칭을 쓰는 것은 무엇보다 편의성에 기인한 것이긴 하지만 약칭의 친밀감도 적잖이 작용한다. 이에따라 각 부처에서는 새 정부가 출범하게 하면 정식 이름외 약칭 사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 고민에 빠지기도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경우 위의 3개 약칭이 정리되지 않은 채 그대로 사용되는 등 방치돼 왔다. 노무현 정부 시절, 이같은 문제점을 발견한 공보관실에서는 부처 약칭을 문화부로 정하고, 각 언론사에 사용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으나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이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문화부란 약칭대신 문체부란 용어가 자리를 잡았다.

이에대해 문화부에서는 정확한 배경설명을 하지 않고 있지만, 당시 무소불위의 힘을 자랑하던 김 모 제 2차관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문화체육관광부'의 약칭이 '문체부'가 됐다는 게 정설이다. 이같은 일들은 과거에도 적지않게 빚어졌다. 국민의 정부 시절엔 관광분야 출신의 A 차관이 부처 약칭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면서 '문화부'의 약칭이 '문광부'로 바뀌게 됐다는 것.

문제는 이같은 부처 약칭 표기에 대한 혼선이 계속되고 있는데도 불구, 정작 당사자인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한 관계자는 " 일반인들은 물론 언론에서 여러 약칭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조만간 입장을 정리해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주변에서는 부처 약칭 표기에 대해 업무을 축약해서 표기하거나 알리려 하는 것도 그 것이지만  약칭이 주는 억양 등 일반인들에게 약칭이 어떻게 다가가느냐 등을 고려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게임물 등급위원회가 위원회의 약칭이 '게임위'와  '게등위'로 함께 불리는 등 혼선을 빚자 어순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게임위'로 통일한 사례가 있다"면서 "정부 부처의 약칭을 단순히 업무 축약이란 명분을 내세우게 되면 국어 순화 및 국민정서에도 어긋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문체부'란 약칭에 대해 이전 정부의 전횡이 떠오르는 약칭이란 지적도 있다. 이에따라 어순 및 친밀도 등을 고려하면 '문화부'가 가장 무난한 약칭이 아니냐는 반응이 우세한 듯 하다.

[더게임스 박기수 기자 daniel86@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