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가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를 시행한지 약 300일이 지났다. 불과 두 세달 후면 제도 시행 1주년을 맞게 되는 것이다.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시행 초기부터 정치권과 유저들에게 큰 믿음을 주지 못한 제도였다. 지난 2016년 노웅래 의원, 정우택 의원, 이원욱 의원 등이 확률형 아이템 규제와 관련한 법안을 잇따라 발의했고, 이 중 일부는 아직 계류중인 상태이다.

또한 ‘2017 게임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유저 60.8%, 모바일 게임 유저 58.5% 등 과반수 이상이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에 대해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이 같은 정치권의 규제강화 움직임과 유저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자율규제를 시행했다. 그리고 1년이 다 되가는 현 시점에도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에 대한 반응은 좋지 못하다.

게임업체가 공개한 확률이 복권 당첨 수준에 머물고 있다거나, 실제 적용 확률이 표기된 확률과 다른 것, 게임업체가 자율규제를 준수하지 않았음에도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는 것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달 초 넥슨, 넷마블 ,넥스트플로어 등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약 10억원 가량의 과징금·과태료 처분을 받은 점도 업계의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이러한 사안이 반복된다면 게임업계의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그야말로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속임수란 인식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이같은 부정적인 인식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금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게임업체들의 대외적인 위상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데 유저들의 인식은 변함이 없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무언가 눈에 보이는 노력과 성과가 필요한 것이다. 

[더게임스 강인석 기자 kang12@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