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가 지적한 문제점 그대로 존재…생태계 되살리기 위한 '징비' 필요

문재인 정부들어 적폐청산의 필요성은 고조되고 있고, 게임계 구성원들도 동조하는 분위기다. 그런데, 정작 게임계 내부에서 청산 대상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고, 청산의 주체도 누구인지 모호하다.

이에,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가 암살당하기 전 남겼던 7가지 사회악(7 blunders of the world)을 떠올려 보면 대한민국 게임계의 적폐와 그 궤가 같음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 7대 사회악을 게임계에 투영해 보면서, 대한민국의 게임의 미래를 논하고자 한다.

간디의 7대악은 '원칙없는 정치' '노동없는 부(富)' '양심없는 쾌락' '품성없는 지식' '도덕성없는 상거래' '인간성 없는 과학' '희생없는 숭배' 등이 그 것이다.

우선, 지난 10년간  '원칙없는 정치'의 부산물인 게임제도와 법안들이 게임계를 옥죄어왔다. 원칙을 알 수 없는 '고무줄 사전심의'는 게임인들의 표현의 자유를 심각히 훼손해오고 있다. 무원칙 고무줄 심의는 중소게임기업의 존립은 물론 대기업의 수백억 프로젝트의 명운을 심판하기에 이르렀다. 유명무실한 셧다운제는 허리(중견)게임기업의 싹을 잘라버려, 외산게임에 안방을 내준 형국이다.

둘째, 한국 게임계의 초토화의 책임에 '노동없는 부(富)'를 거머쥔 낙하산 인사들의 무임승차도 큰 몫을 차지한다. 정권이 바뀌기가 무섭게, 게임계와 인연이 거의 없는 인사가 게임기관장에 임명되어 왔다. 촛불민심으로 대통령과 주무부처 장관이 바뀌었건만, 낙하산 인사들의 위세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외려, 게임계 발전을 명분으로 각종 행사장의 포토라인에서 분주히 언론플레이에 열 올리고 있다.

셋째, 우리 게임생태계에 만연한 '양심없는 쾌락'은 그 도를 넘고 있다. 철저히 분리하여 관리되어야할 '사행성류'들이 '게임'의 탈을 쓰고 유통서비스 되고 있다. 지금이라도, 확실히 게임에서 갬블(사행성류)를 분리하여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 '온라인 게임 결제한도 철폐'는 또 다른 '양심없는' 주장이 아닐까.

넷째, '품성없는 지식'으로 대변되는 '짬짜미 게임정책'들이 생태계를 교란해 오고 있다. 그들만의 리그로 수립된 게임지원책들은 그 수혜대상이 극히 제한되기 일쑤여서, 정작 필요한 중소인디게임사들에게는 그림의 떡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게임중독원인 규명에 쏟아 붓고있는 수백억원이면, 중소게임사 수십수백회사를 회생시킬 수 있을 게다. 

다섯째, 한국 게임생태계 교란의 가장 큰 책임중의 하나는 '도덕성없는 상거래'다. 기실, 부분유료화(Free to play, F2P)는 지금이야 고도화된 비즈니스모델로 칭송받지만, 따지고 보면 게임생태계 파괴 원흉이라 볼 수 있다. 일부 몰지각한 플레이어들의 불법복제 관행이 '정액과금제'를 붕괴시키고 결국 F2P로 수렴하였고, 이는 확률형아이템 사태라는 비극으로 치닫게 되었다. 더 가슴아픈 것은, 공급자는 '베끼기'에 무감하고, 소비자는 '무료게임'만을 찾는 행태의 반복은 더이상 '생태계'라 부를 수도 없지 않을까.

여섯째, 대한민국 게임계의 '인간성없는 과학'은 크런치 모드(Crunch Mode)로 귀결된다. 아무리, 엔터테인먼트니 쇼비즈니스적 속성을 감안하더라도, 현재 우리나라의 게임 창작 환경은 비정상적 이다. 이같은 게임인들이 처한 "비인간적 노동활동"은, 수렵/어로/채취하던 구석기인들나 봉건시대의 노예들의 그것보다 나을 게 없다는 자조의 목소리를 당국자들은 큰 귀로 경청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게임생태계 상생발전을 위해서는 '희생없는 숭배' 역시 경계해야 한다. 즉, 책임감과 도덕성이 따르지 않는 '자율규제'나, 돈만벌면 된다는 '황금만능' 같은 맹목적 믿음 말이다. 일부 규모가 큰 게임사들 위주로 '자율규제'의 목소리가 높지만, 다른 구성원들은 자율규제의 폐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게임산업은 이제 성숙기를 넘고 있으니, 그간 만연해왔던 한탕주의도 경계해야 한다. 지금은 무분별할 수 있는 자율규제 시행이나 돈벌이에 급급함 보다는 성숙한 게임문화 조성이 급선무가 아닐까 ?

간디가 남긴 비장미 넘치는 나라를 망치는 7대 사회악을 거울삼아, 우리나라 게임생태계의 잘못과 비리를 경계하여 삼가할 징비(懲毖)의 대상 7가지를 추려보았다. 요약하면, '7대 게임적폐'로는 '원칙없는 게임제도(사전심의,셧다운제)', '낙하산인사', '사행성류', '짬짜미 게임정책', '크런치모드', '베끼기와 공짜플레이','자율규제와 한탕주의 맹신'등이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의 건강한 게임의 미래를 위해 7대 게임적폐를 징비할 때다.  

[김정태 동양대 게임학부 교수 thatsok@naver.com]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