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조류에 따라 변하는 게 마땅…필요하다면 집 다시 지어야

[모인의 게임의 법칙] 나라가 온통 최 순실 게이트로 인해 어수선하다. 대통령이 쫒겨 나게 생겼고 정치, 사회의 갈등은 더 심화되는 듯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쪽에서는 이미 자신이 대통령이 된 듯한 모습을 보이는가 하면, 다른 한쪽에서는 한번도 쳐다보지 않았던 정치권을 내다보며 정치를 바꿔보겠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시정은 제쳐 두고, 자신이 큰 재목감이라며 연일 정치권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이가 있고, 늘 자리를 내주면서 와신상담해 왔는데, 이번에도 또 다른 이와의 연대 얘기를 꺼내들고 있다며 볼멘소리를 내는 이도 있다.

다들 잘해 보겠다고 하는 것이겠지만 국민들 입장에서 보면 딱하고 부질없는 소리로만 들리는 까닭은, 그렇게 바꿔 보겠다고 달려들었지만, 달라진 건 오로지 세월을 가르키는 달력 뿐이란 걸 국민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은 그나마 선거란 이벤트를 통해 정화되긴 하지만 사회는 그렇지가 않다. 갈등과 반목이 더 심화되고, 계층간, 지역간 대립은 말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벌어지게 된다. 이를 어루만져 주며 치유해야 하는 게 정치인들의 몫인데, 그 프로들의 정치 수준이란 게 민도를 크게 밑돌고 있으니, 그게 문제다.

이로 인해 망가지는 게 경제다. 남미, 동유럽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한때 잘 나갔지만 정정 불안으로 인해 순식간에 경제가 무너졌고, 와해 됐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대한민국 경제는 늘 성역화된 곳 처럼 국민적 보호를 받으며 자라왔다. 격한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경제만큼은 손을 대면 곤란하다는 인식이 컸던 것이다.

그런 대한민국 경제가 지금 휘청거리고 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올해 예상했던 2% 대의 성장률도 물 건너 갈 것이란 전망이 없지 않다. 특히 조선, 자동차 섬유 뿐 아니라 정보통신(IT),콘텐츠 분야까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은 대한민국 경제에 긍정적인 징후라 할 수 없다.

그동안 잘 나간다는 평가를 받아온 게임을 비롯한 콘텐츠 분야의 성장도 예측을 불허하게 하고 있다. 가계 수입 감소로 인한 박탈감 때문인지, 아니면 체감할 정도의 경기 침체로 인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경기 불황엔 콘텐츠가 호황이란 등식이 먹혀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출이 더 큰 문제다. 올 들어 반도체 외 잘 나가는 업종이 거의 없다할 정도다. 게임 등 콘텐츠의 수출도 급제동이 걸리고 있다. 더욱이 콘텐츠 수출의 절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게임 수출의 부진은 위기라 아니할 수 없다. 저간의 배경엔 빅 마켓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무역 장벽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국내 기업 단독으로 현지에서 론칭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온라인 게임도 중국 당국으로부터 판호를 얻지 못하면 현지 서비스가 불가능한 데,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에 대한 심사가 더 엄격해 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그렇다 보니 내수시장 마저 주저 앉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게임에서 모바일 게임으로 주력 시장이 바뀌면서 선순환 구조가 사실상 붕괴된 것이다. 그 까닭은 무엇보다 과거 온라인 게임에 비해 모바일 게임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라이프 사이클이 매우 짧아진 반면, 론칭 비용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들다 보니 그럴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생각이다.

안타까운 사실은 이런 딱한 처지에 처방전은 커녕 블랙리스트나 만지작 거렸다는, 정부의 엉뚱한 돌출 행동이다. 역사의 추를 한 참 돌려놓는 듯한 이런 일들이 과연 이 시대에서도 빚어질 수 있을까 귀를 의심해 보지만, 검찰과 특검에서는 그렇게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 같다. 이 정부가 참으로 한심하다는 생각이 지워지지 않는다. 그래서 선순환 구조가 막힌 게 아닌가 하는 막연한 의심과 그래서 부처 이기주의가 깨지지 않고 잔존했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지워지지 않는 것이다. 이도 저도 아니면 그 징글징글한 조직의 경직성으로, 서로 상대 탓만 하며 손을 놓아버린 무능 행정의 전형이 아니던가.

산업은 끊임없이 멀리 뛰며 움직이는데, 정부의 정책은 한 곳에 머물러 주저앉아 있다면 그 것은 더 이상 기업에 기댈 언덕이 될 수 없는 정부란 뜻이다. 막말로 부술 땐 부셔야 하고, 필요하면 집을 다시 짓는 게 앞선 정책이고 선진 행정이다.

산하기관이나 단체도 마찬가지다.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정체성이 산업 진흥에 득보다 실이 더 크다면 집을 해체하고 다시 짓는 식이다. 또 한국 게임산업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단체이긴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걸맞지 않는다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관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인터넷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협회라고 하는, 국적 불명의 괴상한 이름도  시대에 걸맞지 않는다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 식이다. 이런 것들이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서 위로 유기적으로 이뤄질 때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재계에서는 4차 혁명을 논하고 있다. 하지만 그 핵심은 기기가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다. 그 가운데 게임은 여러 장르의 콘텐츠 가운데 핵심 코어가 될 게 분명하다. 정치가 그 모양이고, 사회가 정신 차릴 수 없을 만큼 혼란스럽다 하지만, 이전 공화국때부터 그리 해 왔던 것 처럼 나라 경제는 살려야 하지 않겠는가.

정치권이 나름, 선거란 이벤트를 통해 한 단계씩 발전해 나가듯이, 정부 행정도 이젠 시대의 조류에 따라 변해야 한다고 본다. 그 첫걸음은 부처별로 애지중지 껴안고 있는 경직성을 깨부수는 일이다. 그래야 이 나라의 경제와 산업이 제 궤도에 진입할 수 있다.

[더게임스 모인 뉴스1 에디터 /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inmo@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