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조윤선 전 정무수석을 내정하는 등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을 위한 3개 부처에 대한 개각을 최근 단행했다.

이 가운데 단연 눈길을 끄는 이는 조 장관 내정자다. 그는 박 대통령의 대표적인 측근 인사로 알려져 있다. 2002년 한나라당 제16대 대통령선거대책위 공동대변인으로 정치를 시작한 그는 제18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의원, 한나라당 대변인, 여성가족부 장관,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지냈다.

 정치권은 이번 인사에 대해  박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한 나라의 문 화정책을 책임지는 문체부 장관 자리는 결코 가볍지 않은 곳이다. 그런데 그런 자리를 법조인에다 정치권 출신인 조 내정자를 발탁한 것이다.

조 내정자 이전에도 김종덕 문체부 장관이 외부 발탁 인사라는 형식을 통해 부처 수장을 맡아왔다. 그가 재임한 기간 동안 많은 일을 했다 하지만 산업계의 반응은 아주 냉랭하다. 일만 벌려 놓고 갔다는 것이다.

물론 정치인 등 비관료 출신 장관들의 장점도 없지 않다. 그들은 새 비전을 제시하고 보수적인 조직을 보다 능동적으로 바꿔놓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로 인해 조직이 흔들리거나 군데군데 허점이 드러나기도 한다.

이런 연유로 비 관료 출신 장관이 왔다 가면 그 다음에는 전문 관료(테크노크라트)가 수장을 맡아 흐트러진 조직을 재정비하는 게 그동안의 관례처럼 이어져 왔다. 이 때문에 김 장관 후임에는 전문관료가 임명돼 조직을 추스리지 않겠냐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결과는 또 빗나갔다.

문체부는 그동안 문화 부처이면서도 산업 부처로 변신하기 위한 노력에  몸부림쳐 왔다. 산업 관련 업무를 수립하는 다른 전담 부처에서 산업 진흥 정책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비아냥을 사 왔기 때문이다. 그 까닭에 문체부는 박지원 전 장관 이후 그동안 문화 산업 전담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어느날 부터인가 문체부에 전문 관료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말들이 흘러 나왔다. 잇따른 인사에다 조직의 형평성 또는 수평적 인사란 명목으로 조직을 마구 뒤흔들어 놓아 전문집단이란 용어가 무색하게 됐다.

지금 세계는 문화 전쟁을 치르고 있다. 우리 역시 이 전쟁에서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점을 박근혜 정부가 모를 리가 없다. 그럼에도 이같이 회전문 인사로 일관한다면 문화정책의 내일은 암담할 수 밖에 없다 할 것이다. 

장관이 바뀌었으니까 또 인사를 할 것이고 또 조직을 섞어 놓을 게 뻔하지 않은가. 이런 인사로 인해 멍드는 건 부처내 조직 뿐이 아니다. 그로인해 흔들리는 건 다름아닌 산업인이고 더 나아가 국민이란 사실을 박근혜 정부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