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준 검사장의 넥슨 비상장 주식 인수 자금의  출처가  넥슨의  대여 형식의 돈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불똥이 넥슨 김정주 회장으로까지 튈 전망이다.

검찰측은 이와관련, 이를 규명하기 위한 김정주 회장에 대한 소환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어서 진 검사장의 넥슨 비상장 주식 인수 파문은 갈수록 꼬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군다나 게임산업이 플랫폼의 혼재로 인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김 회장의 검찰 소환 방침은 또다른 시장의 악재가 될 게  분명하다.

이 사건의 내막은 검찰측이 이를위한 새로운 팀을 구성하는 등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니 시간을 두고 지켜볼 일이다. 하지만 여러모로 이해할 수 없는 정황들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지난 2005년 넥슨은 진경준 검사장, 김상헌 네이버 대표, 박성준 전 NXC 감사에게 각 4억2500만씩, 총 12억7500만원 규모의 주식 매입 자금을 지원했다.

이에 대해 넥슨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회사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장기 투자자로 판단해 자금을 빌려줬고, 후에 이를 모두 돌려받았다고 해명했지만 게임인은 물론 일반인 조차 이를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당시 넥슨은 초창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창 주가를 올리던 시기였다. 대표작인 ‘바람의 나라’ 뿐만 아니라 ‘메이플스토리’ 등을 통해 적지 않은 수익을 올리는 등  탄탄한 기반을 닦고 있는 상태였다. 그런데 뜬금없이 이들 3인에게 주식을 넘기려 했고 그럴 돈이 없다 하니까 대여금 형태로 꿔주기까지 했다.   

무슨 뒷배경이 있지 않고선 그럴 수 없다는 소리를 들을 수 밖에 없다. 특히 넥슨은 이미 미래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스타급 기업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이를 두고 바라본다면 진검사장과 넥슨은 오해 사기에 딱맞는 정황을 제공하고 있는 셈이라 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진 검사장이 당시 벤처 금융 관련 보직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 하지만 넥슨이 그로 인한 특혜를 받았다는 근거는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  또다른 수혜자인 김상헌 네이버 대표 역시 당시 인터넷업체에 법률 상담역을 맡긴 했지만 존재감을 드러낼 정도의 인물은 아니었다는 게 정설이다.

이를 두고볼 때 , 김 회장이 그렇게 무리를 해 가면서까지 그들에게 넥슨 비상장 주식을 왜 내줘야 했느냐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김 회장이란 인물의 독특한 캐릭터다. 그는 사업을 내다보는 눈과 수리에는 아주 비상하지만 인간 정리에 대한 부문은 아주 약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일각에선 그에 대해 극대극이란 인물평을 내놓기도 한다. 수치에 밝으면서도 정리에 얽혀있는 사람에겐 무감각증을 드러낼 만큼 헌신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아주 계산적이고 냉정하다는 것이다. 업계 일각에서 그가 정리에  매달리다가 이번과 같은 사단을 만들지 않았느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진 검사장의 넥슨 비상장 주식매입 사건 수사는 그런 측면에서 질질 끌게 아니라 서둘러 매듭지어져야 한다. 게임시장과 게임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속도 조절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에서도 이에대해 왈가왈부할 게 아니라 검찰의 수사를 지켜보는 것이 순서라고 본다.  예컨대 이번 사건은 유감스러운 일이긴 하지만 권력 집단과  말 그대로 잘 나간다는 기업간 뭔가 구린 커넥션이 있는, 그런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