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한 지 2년이 지나 절반을 향해 가고 있다. 이쯤에서 게임산업에 대한 박근혜 정부의 정책을 중간 평가해 본다면 다소 실망스럽다는 것이다. 기대가 워낙 컸기 때문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지날수록 실망스러움만 안기고 있다는 데 대해 업계가 대체로 공감하는 듯 해 보인다.

박 대통령은 대선 후보였던 시절부터 꾸준히 게임에 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특히 지난 2012년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때에는 부산에서 열린 ‘지스타’ 현장을 방문하는 등 게임 문화 전반에 걸쳐 큰 관심을 나타냈다.

그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에도 게임을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창조경제 5대 킬러콘텐츠’ 중 하나로 언급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이같은 의지는 서서히 꺽이는 듯 흔들리기 시작했다. 말직에 까지 대통령의 의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고 정치권의 게임규제 움직임도 끊이지 않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최근 게임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던 보건복지부의 ‘게임중독 광고’ 사건이다. 복지부는 지하철과 인터넷을 통해 검증되지 못한 일방적인 내용을 ‘게임중독’ 광고란 미명아래 대대적으로 알렸다. 이는 무엇보다 부처간 손발이 맞지 않았다는 점외도 박근혜 정부의 컨트롤 타워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부처 이기주의에 의해 맘대로 경제 정책 지표를 끌어 내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정부 부처 내에 안티 게임맨들이 얼마나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게임에 대해 몰상식한 ‘아이돌 놀이’로 깎아내리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여실히 보여 줬다는 점에서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새로운 인식이 과제가 되고 있다 할 것이다. 또 그런 측면에서 이번 사건을 가볍게 보아 넘겨선 안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규제의 못을 뽑아 버리는 것도 중요 하지만 그 것 못지않게 인식에 대한 전환이 절실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의 남은 과제는 그래서 게임에 대한 인식 전환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란 점이다. 게임을 오로지 수출 효자산업으로만 부추길 것이 아니라 당당한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심이라는 점을 모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과제는 결코 짧은 시간에 이뤄질 수는 없겠지만 마치 잔비에 옷이 젖어들 듯 지속적이고도 꾸준한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그렇게 어려운 일도 아니라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새로운 게임육성 정책도 그 것이지만 이같은 점을 유념해 제도권내에 게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개선 되도록 힘을 기울이는데 보다 역점을 두었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