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미 대학교 연구팀을 중심으로 게임을 하면 판단력과 주의력, 뇌 발달 능력 등이 활성화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아이오와 대학에서 연구한 50세 이상 장년층에게 게임이 미치는 영향을 방송한 장면
 게임과 폭력 상관관계 없다증명

 대학 연구기관 긍정적 결과 발표업계 객관·중립적연구 주문

정부가 게임이 뇌에 미치는 의학적 연구에 착수함에 따라 이와 비슷한 외국의 연구사례가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까지 나와 있는 외국의 연구사례는 부정적인 것 보다는 긍정적이거나 연관성이 없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따라 업계에서는 정부의 이번 연구도 외국의 사례를 적극 참조한 가운데 객관적이고도 중립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고 있다.

이번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주관의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이하 게임과몰입 연구과제)’는 뇌과학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시행된다는 것이 기본 골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게임 과몰입 분야에 있어서는 최근 논란이 된 제대로 된 연구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이라는 것이 미래부의 설명이다.

이런 의견은 최근 정부의 게임 정책 기조가 규제 강화에서 완화로 전환되면서 모습을 드러냈다. 실제로 미래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작년에 이미 업무협약을 체결해 게임산업을 포함한 콘텐츠 산업 지원을 약속한 바 있고,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 역시 게임중독 연구과제에 있어 문체부와 함께 연구기관으로 참가해 손발을 맞추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정부 부처가 서로 상설협의체를 만들면서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 빗장을 풀고 있는 가운데 게임과몰입 연구과제의 진행은 업계와 학계 등이 주장했던 객관적인 연구자료구성을 위한 움직임이라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이런 입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거센 반발을 하고 있다. 특히 게임중독 연구과제와 관련된 연구 기관으로 신의진 의원의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이하 게임 중독법)’ 통과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인 바 있는 가톨릭대학교를 선정했다는 점에서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이미 해외에서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는 게임 과몰입과 관련된 연구사례를 예로 들며 보다 객관적이면서 납득할 수 있는 연구 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무조건적인 연구 진행이 아니라 객관적인 연구과제와 기관, 진행자를 통한 분명한 결과와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미시간주립대학교를 필두로 토론토대학교, 아이오와대학교 등의 북미지역 대학교 연구팀들이 꾸준한 연구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미시간주립대 연구팀은 지난 2009FPS게임이 게임을 즐기는 유저를 흥분시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생활을 하는 것과 똑같은 흥분 상황을 연출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 8월에는 게임을 플레이 할수록 창의력이 증가하고, 사회적인 논란과 달리 게임을 통해 사회성 향상과 분노 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뒤이어 토론토대학교에서는 FPS게임을 즐기는 유저가 그렇지 않은 유저보다 판단력과 주의력이 향상되었다고 발표했고 아이오와 대학 역시 50세 이상 장년층에게 게임 플레이를 통해 뇌 발달 능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에서는 연이어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과 관련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직접 게임과 총기 폭력 관련성 연구를 지시해 1000만 달러(한화 약 107억 원)를 투자해 인과관계 조사에 나선 바 있다.

이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무지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폭력적인 사건이 유행하는 상황에서 과학적 근거를 알지 못하면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고 언급하는 등 무조건 게임을 폭력적인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하지 않고, 객관적인 연구를 주문한 바 있다.

현재 이 연구는 진행 중이지만, 비슷한 연구를 실시한 미국 빌라노아대학과 럿거스대학에서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출시된 게임의 판매량과 폭력 사건의 발생 건수를 대조한 결과 게임이 출시되고 판매가 호조일 동안 범죄율은 오히려 급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게임과 폭력사건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며 이같은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연구 과제의 의도가 아니라 연구의 잘못된 명칭으로 인한 그릇된 시선과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기관의 중립성 문제라며 모든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이면서 투명한 연구 절차가 진행돼야 하며, 해외의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 게임스 김용석 기자 kr1222@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