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을 바라보는 정치인들의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건전한 사회를 좀 먹는 유해물질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유망 콘텐츠산업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대부분의 정치인들이 게임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신의진 의원(새누리당)의 경우 게임을 술, 도박, 마약 등과 같이 중독물질로 보고 관리해야 한다는 법을 상정하기도 했다. 또 정부에서도 청소년들의 심야시간 게임이용을 막기 위해 유례가 없는 ‘셧다운제’를 도입, 시행하고 있기도 하다.

그 반대편에 있는 정치인도 소수이긴 하지만 존재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현 남경필 경기도지사다. 그는 국회의원이던 지난 해 게임산업협회(K-iDEA) 회장직을 맡으며 주변 의원들의 손가락질을 받기도 했다. 또 전병헌 의원(새정치민주연합)도 한국e스포츠협회장과 국제e스포츠연맹회장을 맡는 등 적극적인 게임사랑 활동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박주선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국내 게임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의 역차별 문제를 지적하는 등 긍정적인 관심을 보여주기도 했다.

박주선 의원은 국정감사 직전에 보도자료 등을 통해 “모든 게임이 심의를 받고 있는 국산게임과 달리, ‘스팀’과 같은 해외 업체는 절반 이상의 콘텐츠들이 심의를 받지 않은 채 유저에게 노출되고 있다”며 심의 역차별 논란을 지적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문제는 게임에 부정적인 정치인뿐만 아니라 게임에 긍정적인 정치인들조차도 게임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번 국감도 게임산업 문제의 핵심을 찌르는 것이 아니라 변죽만 울리고 사회적 이슈만 만들어내는 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이 게임시장의 변화 속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외국의 경우 국회의원은 최고의 전문가로 인정받는다. 이는 저절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연구화 치열한 현장학습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 과연 우리나라의 국회의원들은 얼마나 산업을 이해하고 현장을 파고들었는지 반성해봐야 할 것이다.

국회의원이라는 권위를 앞세울 것이 아니라 그들이 알고 있는 정확한 지식과 핵심을 찌르는 문제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