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본이 대거 국내에 유입되고 있다. 그 것도 뭉칫돈으로 해서 무차별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그 첫 타깃은 정보통신(IT) 가운데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의 말에 따르면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중국 자본이 미치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 할 만큼 엄청난 규모의 달러가 뿌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게임계도 예외는 아니다. 상당수 업체들이 내수 침체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중국 자본에 회사 지분을 넘기고 있다는 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고, 정확히 확인되지 않고는 있으나 중견업체인 A사와 B사가 지난해 말 중국업체에 회사를 매각했다는 설 또한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다.

한 때 중국의 게임시장은 한국 게임의 전초기지였다. 내수 시장에서 참패했더라도 중국 게임시장에서 이를 벌충하면 됐다. 아예 중국 게임시장을 겨냥한 작품도 있었다. 소재 자체가 국내시장이 아니라 중국시장용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이들 작품은 중국시장에서 적중했고 흥행몰이에도 성공했다.

중국 흥행에 재미를 붙인 국내 게임업체들이 마구잡이식으로 현지에다 게임을 쏟아낸 게 이 때쯤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조건을 까다롭게 내걸었고, 함량미달인 작품이다 싶으면 계약파기도 마다하지 않았다.

한국 게임을 서비스하면서 일확천금의 횡재를 얻은 중국 게임업체들이 거드름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 한국 게임업체들은 그들이 건네준 코 묻은 푼돈에 쾌재를 불렀고 마치 받을 만큼 받은 것 아니냐며 샴페인을 터트렸다.

이젠 중국 굴지의 기업이 된 알리바바가 한국의 전자 상거래의 표본을 벤치 마킹해 성공했다는 얘기는 더 이상 새로운 게 아니다. 특히 이 회사의 CEO 마윈은 자본 유치 방식도 아주 한국식으로 진행했고, 그 결과, 일본의 재일교포 손정의 회장으로 부터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큰 돈을 투자받을 수 있었다.

토끼와 거북이의 이솝 우화가 새삼스럽게 떠오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온라인 게임은 대한민국이 종주국이라고 할 만큼 새로운 지평을 열어 왔다. 지금도 기술 수준으로 보면 한국이 최상급이다. 하지만 이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게 됐다. 꾸준히 한국 기업을 뒤따라온 중국 게임업체들이 이젠 자국 시장에서 한국 게임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바일 게임은 더 심각하다. 국내 모바일 게임기업들이 허덕거리며 한 두 작품을 만들어 낼 때 중국 모바일 게임 기업들은 마치 기계적으로 생산해 내 듯 모바일 게임을 쏟아내고 있다. 그 때문인지 중국 현지 모바일 게임시장에서 한국 게임이 선전했다는 소식은 가물가물하다.

기술 수준으로 보면 더 이상 한국 게임 기업이 앞서고 있다고 자신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그래픽 디자인 분야만 제외하면 적어도 엇비슷하거나 버금간다고 평가해야 옳다는 것이다.

이 지경까지 이른데 대해 업계에서는 육성책보다는 규제책을 내세운 정부의 게임 정책에서 찾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를테면 게임계에 대 못을 박고 제동을 걸어, 달려가고 싶은 데도 때 아니게 토끼처럼 잠을 자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특히 2011년 시행된 셧다운제는 규제책을 넘어서 업계에 자부심을 짓밟은 대표적인 악법이라고 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 같은 게임 규제안은 여전히 게임계에 자리하며 목을 죄고 있다.

규제는 사회의 안전망 차원에서 없어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에 절대 공감한다. 거룩한 표현으로 사회 안녕과 질서를 보호하고 지키자는 건 국가의 책무이자 의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것이 도를 넘어서면 얘기가 달라진다.

최근 정부가 게임 광고를 일정부문 규제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게임의 유통과 흐름을 잡아보겠다는 뜻으로 보여진다.

이에대해 아직까지 구체적인 정부 안이 나오지 않아 뭐라 얘기할 수 없으나 규제가 필요하다면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불필요한 규제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낳는다는 점에서 이번 기회에 게임 규제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점이다. 예컨대 본말이 전도되고 실효성이 거의 없는 셧다운제 등을 폐기하는 등 옥석을 가려보자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이젠 게임계도 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여기서 무엇보다 게임계 오너들의 마음자세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상당수 게임업체 오너들이 자신들을 대리한 바지 사장들을 내 세운 채 시장에서의 면책을 꾀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깝고 부끄러운 일이다.

이는 불합리한 규제 또는 정책에 맞서 머리를 모아야 할 사람들이 뒷전에서 남의 일 보듯 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지금은 이사회 의장이란 타이틀만 가지고 뒤에서 섭정할 때가 아니다. 우리 경제 뿐 아니라 게임계 현실로만 봐도 매우 위중한 상황이다. 그런 식으로 하니까 경쟁자들에게 떠밀리고, 자고 싶지 않은데 자야하는 처지에 놓이는 게 아닌지 곱씹어 봐야 한다.

다음 카카오의 이석우 대표가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카카오 검열 논란에 대한 입장을 이같이 피력한 적이 있다. “정부가 회사의 대표를 찾는데 안 간다는 게 말이 되는가 ” 정부의 정당한 초치는 나쁘지 않다는 뜻으로 그는 받아 들였다.

필자는 이 대표의 이같은 문제 해법 방식이 게임 규제 철폐를 실천해 나가는 첫 걸음이며, 게임계에 새로운 초석을 다질 수 있는 부활의 길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쉽게 말하면 정부와 척을 둬선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상당수 게임 기업 대표들이 뒤에서 폼만 잡고 있다.

한심하기 그지없다. 당신들 때문에 경쟁국인 중국, 일본, 미국에 뒤지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말이다. 그렇게 해선 절대 규제를 풀 수 없다.

[더게임스 모인 뉴스2 에디터/  건국대 문화콘텐츠 겸임교수  inmo@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