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바일게임 시장은 자본력이 크게 영향을 미치며, 오히려 어려움이 더 커졌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카카오 게임하기와 함께 번져나간 성공 사례는 이미 과거의 일처럼 비춰지고 있다. 때문에 모바일게임의 장점으로 부각됐던 소규모 스타트업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스타트업이 성공 가능성보다는 생존을 위한 싸움에 진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규모 업체가 가장 고민하고 있는 것은 역시 작품을 알리는 방법이다. 자본력이 막대한 메이저 업체에 비해 초라한 느낌을 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존 게임업체들이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을 마케팅비용으로 쏟아 붓는 것을 멍하게 바라볼 수 밖에 없는 탓이다. 

또 점차 마케팅 비용 대비 효율도 낮아지면서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미 업계에서 경력을 쌓고 독립하겠다며 뛰쳐 나온 개발자들의 속은 더욱 타들어가고 있다.

과거 몸 담았던 업체와 달리, 새롭게 출발하는 입장에서는 작품을 알리기가 그야말로 '낙타가 바늘구멍 들어가기' 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새로운 도전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게임 업계에서는 창작욕구를 이루기 위해 독립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편이다. 조직화된 큰 회사에서는 톱니바퀴처럼 정해진 일을 해야 하지만 개인으로 독립을 하면 내가 원하는 작품을 마음껏 창작할 수 있다는 이유에 도전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소규모 인력이 한정된 자본으로, 완성할 수 있는 작품은 주류가 되기 쉽지 않다. 단순 규모는 물론, 전체적인 완성도 역시 대중적으로 성공한 작품을 좇아가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투입된 인력과 자본의 격차가 큰 만큼 당연한 일이다.

소비자 시선 역시 냉정하다. 몇 명이, 어떻게 작품을 완성했는지와 같은 사연을 알 수도 없을 뿐더러 알려진다 하더라도 작품 자체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지 않는다. 감성에 호소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얘기다.

최근 새로운 시즌이 시작된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의 경우가 '감성팔이'의 전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슈퍼스타K'는 참가자 사연을 담은 스토리텔링이 감동을 주기도 했으나 한편으로는 '감성팔이'라는 오명을 동시에 얻기도 했다.

그러나 게임업계는 방송과는 다르다. 아무리 감동적인 스토리가 있어도 작품으로 승부를 봐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감성팔이'라는 비난을 받을지언정, 이와 같은 사연을 조명하고 '스타개발자'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로운 스타의 등장은 선순환 구조가 기대되는 환영받을 만한 일이기 때문이다.

최근 업계에서는 이와 같이 '스타'를 찾기 위한 시도가 하나둘씩 이어지고 있다. 오픈마켓에서는 독립성이 강조된 인디게임을 조명하기 시작했다. 또 게임인재단의 '힘내라 게임인상'도 일련의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이밖에 게임 전문 크라우드 펀딩 '텐스푼' 등도 다각도로 스타트업과 연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은 반가운 일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개발자들이 초심을 잃어선 안된다. 그들이 기성 업체들처럼 돈을 바라고 감성에 호소하는 데 치우친다면 정작 그들의 가장 큰 장점인 개성과 도전정신이 사라질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성이다. 그리고 그 다음이 마케팅이며 감성에 대한 호소다.

[더게임스 이주환 기자 nennenew@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