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말하는데 사람의 마음이 변하는 데에는 그보다 짧은 기간이라도 충분한 것 같다. 

최근 친 게임 발언으로 업계의 눈길을 끌고 있는 한선교 새누리당 의원이 과거에는 업계의 공적으로 몰릴 정도로 안티게임맨이었기 때문이다.

한 의원과 게임업계의 첫 인연은 좋지 않았다. 그가 지난 2011년 3월 대표 발의한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게임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인해 게임산업을 옥죄는 각종 규제가 생겨났다.

한 의원의 개정안에는 게임을 중독물질로 규정하는 조항이 포함됐다. ‘게임중독법’과 ‘손인춘법’ ‘셧다운제’ 등 각종 게임악법의 빌미가 된 제 12조의3항 ‘게임과물입·중독 예방 조치’ 항목이다.

특히 ‘게임중독’이란 표현을 법안에 사용하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공적 '안티게임맨'이라 칭하기 부족함이 없는 인물이었다. 이런 한 의원이 4년여의 세월이 지나자 얼굴을 바꿨다. 친(親) 게임업계 행보로 노선을 변경한 것이다.

한 의원은 최근 국정감사 자료를 인용해 한국정부의 규제일변도 정책을 비판하고, 모바일 플랫폼 사업자들의 사용 수수료가 너무 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예의상 한번 언급한 것이 아닌 게임업계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발언이었다.

돌변한 한 의원의 모습에 게임업계는 놀라는 눈치다. 각종 규제를 만드는데 앞장 선 사람이 이제는 산업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이니 말이다.

그는 스마트폰이 청소년 교육에 있어 악영향을 준다며 더 강력한 보호활동을 펴야한다고 불과 몇 달전에 주장했다. 음란물과 선정적 콘텐츠를 지목하긴 했지만 과거 게임을 물고 늘어진 전력을 봤을 때 게임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을 것 이라는 게 업계의 시선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모바일게임업계 친화적인 발언을 했다니 쉽게 믿을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평이다.

한 의원의 변심에 어떠한 요인이 있었는지는 궁금하긴 하지만, 업계의 입장에서는 반가울 수 밖에 없는 일이다.  게임산업과 업계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인물이 늘어난다는 것은 나쁜 소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게임산업의 목을 조여오는 각종 규제가 간접적으로 한 의원의 손에서 태어났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한다 해도 말이다.

오히려 한 의원에게 이제야 말로 메마르고 가물어 쩍쩍 갈라지고 있는 게임시장을 적실 단비가 되어달라고 부탁하고 싶다. 과거를 잊어서는 안 되지만 게임산업의 내일을 위해서라도 그의 말과 행동이 또다시 바뀌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다.

[더게임스 서삼광 기자 seosk@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