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데이토즈 등 고작 한 두개 작 성공
금융권 논리 따라 오르락내리락…개발력·글로벌 마케팅 등 종합평가해야

‘카카오 게임하기’의 등장과 함께 한 순간에 스타덤에 오른 선데이토즈, 파티게임즈, 네시삼십삼분 등 신생 모바일게임업체들이 지나치게 과대평가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게임빌과 컴투스 등 기존 모바일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됨으로써 머니게임으로만 기업가치를 평가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따라 보다 정확하고 심도 있는 평가가 이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성공한 한두 작품을 놓고 기업을 평가할 것이 아니라 개발력과 글로벌 소싱능력 등 기본기와 미래성을 놓고 평가해야 한다는 얘기다.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은 카카오 게임하기 등장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카카오의 게임 서비스는 불투명한 전망이 이어지기도 했지만, 결국 엄청난 성공을 거두며 시장을 장악했다. 이런 과정에서 카카오와 긴밀하게 협력한 업체들 역시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며, 그 위상이 달라졌다.

특히 신생 업체들이 연이은 대박을 터뜨리자 업계는 급격한 변화의 바람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소규모로 단기간에 개발한 가벼운 장르의 작품들이 새롭게 유입되는 유저층과 맞물리면서 큰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 게임 업체들의 구미를 당기는 현상이었고, 이와 같은 분위기가 팽배하면서 시장은 빠르게 달궈지기 시작했다. 기존 업체들은 상대적 박탈감이 체감되는 것처럼 모바일게임으로 체질변화에 나섰다.

이에 따라 경쟁 전선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정도로 혼잡하게 변하게 됐다. 또 결과적으로는 초기에 성공을 거두고, 시장을 선점한 일부 신생 업체들이 승기를 잡는 상황이 연출됐다.

# 카카오 덕에 ‘돈방석’
이처럼 승기를 붙잡고 앞서 나간 신생 업체들은 현재 시장 판세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는 만큼 그 기대감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를 평가하는 기업 가치가 거품처럼 과한 것은 아닌지 진단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초기 카카오 게임하기를 통해 트렌드를 뒤집으며 껑충 뛰어올랐다. 특히 선데이토즈(대표 이정웅)는 이와 같은 신생 업체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다. ‘애니팡’으로 중장년층을 비롯한 신규 유저층을 유입시킨 것이 카카오 플랫폼 영향력을 키우는 효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카카오를 통한 모바일게임 서비스가 대중적으로 관심을 받게 됐고, 업체들이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 선데이토즈가 지난해 우회 상장을 통해 코스닥에 이름을 올렸다는 것도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는 카카오 기반 신생 업체들의 리더 역할이 부여된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또 이에 따라 선데이토즈의 행보는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으며, 책임감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약 5000억원 수준이다. 또 지난 2분기 매출 406억원과 영업이익 179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90%, 영업이익이 373% 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을 초과 달성한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을 2분기에 경신했다. 그러나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0.7%와 2.4% 증가한 제자리걸음을 보였다. 여기에 당기순이익은 3.2% 감소해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또 ‘애니팡2’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평가는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아쿠아스토리’를 새롭게 선보였으나, 이미 소셜 게임으로 등장한 작품인 만큼 성장 모멘텀을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다.

‘애니팡’과 ‘애니팡사천성’ 등이 각각 누적 매출 530억원, 16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전과 같은 폭발력이 없어졌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실적 방어가 어려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이 회사는 모바일게임 ‘대박’의 빛과 그림자가 부각되고 있다. ‘애니팡’ 한 작품으로 큰 성과를 거두며 기업 가치를 올렸으나, 그 이후 행보는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애니팡2’가 성공했다고 볼 수는 있지만, ‘캔디크러쉬사가’를 모방했다는 비난에 시달리는 등 업계 전반의 가치관과 어긋나는 모양으로 박수를 받지는 못했다. 이는 결국 주가를 비롯한 돈과 관련된 인물들의 시선만 의식했다는 지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 줄줄이 IPO 행
이런 가운데 제2의 선데이토즈를 꿈꾸는 업체들이 속속 기업공개(IPO) 절차에 나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네시삼십삼분(대표 양귀성, 소태환) 역시 기업공개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는 업체 중 하나다.

이 회사는 올해 초 기업가치가 2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블레이드’가 큰 성과를 거두면서 기업공개 시점에는 최대 1조원까지 달할 것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또 기업공개 추진과 관련, 여러 증권사가 주관을 위해 큰 관심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 박재석 전 삼성증권 이사가 CFO(최고 재무 책임자)로 합류하면서 증권가의 관심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박재석 CFO가 애널리스트로서 뛰어난 경력을 보유한 인물인 만큼 기업공개가 더욱 유리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이 회사는 매출 대비 실질적인 수익률이 부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약 400여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으나 이익은 10%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블레이드’가 매출을 견인했으나, 퍼블리싱 작품이라는 점에서 순수익이 예상보다 낮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특히 퍼블리싱 사업의 첫 도전으로, 마케팅 비용 역시 만만치 않게 투입됐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첫 퍼블리싱 작품으로, 향후 사업 분위기를 주도하기 위한 전력투구는 당연하다는 시각이다.

실제로 ‘블레이드’는 지하철 광고 표절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이는 공격적으로 마케팅에 나섰음을 방증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 회사는 퍼블리싱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여기에 해외 시장 진출 역시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수익 측면에서 부담감이 큰 퍼블리싱과 위험성이 높은 해외 진출에 힘을 쓰는 만큼 기업 가치에 대한 평가를 섣불리 내리기 어렵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기업공개를 앞둔 모바일게임 업체들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것은 파티게임즈(대표 이대형)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공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파티게임즈는 지난해 매출 270억원, 순이익 87억원을 기록했다. 또 2012년은 매출 179억원, 순이익 68억원에 그쳤다는 것이다. 이는 업계에서 예상했던 수치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이 회사는 지난달 상장예비심사가 승인됐으며, 연말께 상장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230억원에서 280억원 수준으로 공모가를 청구했다. 이에 따르면 시가총액은 1040억원에서 1270억원 사이가 될 예정이다.

당초 시장에서 예측한 파티게임즈의 기업가치는 2000억원에서 5000억원까지 달했다. 그러나 실제 매출과 수익이 미진하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신생 모바일게임 업체들의 평가를 제고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기존 모바일게임 전문 업체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박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그러나 최근 게임빌과 컴투스가 해외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며, 이와 같은 인식을 전환시키고 있는 중이다.

# 속 들여다보면 실망
올해 상반기 게임빌과 컴투스는 각각 610억원, 6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컴투스는 영업이익 192억원을 달성하며 업계를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배경은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해 오랜 기간 공을 들였던 것이 결실로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반면 카카오 효과에 힘입어 급부상한 신생 업체들은 기업 공개에 공을 들이며 매출과 이익 올리기에만 매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 공헌이나 산업에 대한 책임 의식 없이, 마케팅 경쟁에만 몰두하는 것도 경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모바일 게임업체들에 대한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은 성장 가능성을 더하는 측면에서 고무적인 일이나 장기적인 관점으로는 산업계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게임업계가 맹목적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을 쫓는 것은 어찌보면 금융가의 무책임한 기업평가 때문이란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더게임스 이주환 기자 nennenew@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