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에 우선순위 밀려 ‘뒷전으로’
작년 7개 사업중 6개가 스마트디바이스… 이러다 ‘찬밥신세’ 전락 우려

정부의 게임지원 사업이 모바일에만 집중돼 있어 상대적으로 온라인이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의 균형적인 지원사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진행한 게임 관련 사업 7개 중 6개가 스마트디바이스 등 모바일업계를 대상으로 했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지원은 글로벌서비스플랫폼(이하 GSP) 사업이 유일했지만, 현행 1년의 지원기간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올해도 온라인업계 사정은 마찬가지다. 상반기에는 모바일게임 개발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 시행됐다. 하반기 역시 사업규모와 기간 등 모바일게임과 어플리케이션(앱)이 아니면 여건을 맞출 수 없는 지원과제가 나왔을 뿐 온라인게임 지원 사업은 추가되지 않았다.

한정된 자원이 모바일게임 시장으로 쏠린 만큼 소외받게 된 온라인게임 업계는 정부 정책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게임산업과 콘텐츠 수출에 지대한 공헌을 했지만, 어려운 상황에 처하자 외면당하고 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게임산업이 PC를 기반으로 한 패키지와 온라인게임을 중심으로 이뤄진 만큼, 침체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온라인게임에 대한 지원과 정책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각종 규제 정책이 온라인게임에 집중되면서 사정이 더욱 나빠지고 있다. 온라인게임이 각종 사회적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돼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상황에서, 이를 타계할 자구책이 업계 차원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개발자들이 온라인게임 개발을 꺼리는 분위기가 조성된 것도 온라인게임 업계의 골칫거리다. 비교적 자유로운 콘텐츠 생산 환경을 원하는 개발자들이 모바일게임으로 몰리면서 종사자 규모가 점차 줄고 있다.

온라인게임 업계는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산업을 위한 규모의 경제가 무너질 수 있다고 한숨 짓고 있다. 개발력과 기획이 있더라도 이를 개발할 사람이 없으면 게임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발인력 양성과 이탈되는 인력에 대한 충원을 위해 신규인력 양성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 산학협력 강화를 통해 온라인게임 개발을 위한 우수 인력을 육성하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라는 시선도 있다.

한 중소 게임업체 대표는 “온라인게임 정책이 규제로 일관되다 보니 개발자들의 의욕이 감소하고, 보다 편하고 자유로운 환경을 추구하는 개발자들이 모바일로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몇 년 후에는 게임을 개발하고 싶어도 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속적인 작품 개발이 이루어 지지 않는 산업은 결국 죽은 산업이 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모태 펀드 구축과 GSP 등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는 정책과 지원의 폭을 늘려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중소 온라인게임 업체가 꼽은 최대의 문제점은 개발비 확보다. 대형 업체들의 지원도 정부의 정책이 규제일변도로 경직돼 있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의 정책이 절실한데, 국내 민간 자본의 대부분이 모바일게임으로 쏠리는 상황을 역전할 방책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구축한 모태 펀드에 민간 자본을 모아 지원한다면 온라인게임 개발업체의 걱정을 덜어 안정적인 산업환경 조성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온라인게임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GSP사업의 확장도 고려할만 하다. GSP사업은 국내 온라인게임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돕는 현지화 지원 사업이다. 국내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 지는 만큼 글로벌 진출이 필수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지화에 필요한 자금과 기간 확보 걱정만 덜어도 중소업체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해외 진출 걱정을 더는 만큼 경쟁력을 갖춘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이 조성돼, 근시안적 성과위주의 경영에서 미래경쟁력 확보 경영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창조산업 전문가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온라인게임에 대한 지원책은 꾸준히 시행되고 있지만 업계의 요구에 비해 부족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게임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해서 예산확보와 정책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더게임스 서삼광 기자 seosk@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