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업계가 큰 몸살을 앓고 있다. 중소업체들은 ‘이제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고 아우성이다. 시장환경이 급변하면서 온라인게임에 대한 유저들의 관심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또 정부의 지원도, 투자자들의 관심도 갈수록 떨어지고 있어 이대로 가다가는 미래가 안 보인다.

그런데 이 와중에 정부의 지원과 관심조차 온통 모바일 게임업계로 쏠려 있다. 이같은 현상은 정부의 지원사업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게임 관련 지원사업 7개 중 6개가 모바일 업계를 대상으로 했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지원은 글로벌서비스플랫폼(이하 GSP) 사업이 유일했지만, 현행 1년의 지원 기간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올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로 인해 단 한 푼의 돈이 아쉬운 온라인게임업체들은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 유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테면 정부의 게임산업육성 방향이 좀 탄력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5~6년 전만 해도 모바일 게임에 대한 금융권의 시각은 매우 신중했다. 작품 하나를 개발하는 데 몇 개월이면 충분하고 그런 만큼 매출도 몇 십억 원이면 초대박이라고 여겨졌던 시대였기 때문에 큰 관심거리가 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의 관심은 온통 온라인게임 개발업체에 쏠려 있었다.

그런데 사정이 크게 달라졌다. 온라인 게임업체들에 대한 펀드는 거의 사라진 반면 모바일 게임 등 스마트디바이스 분야의 펀드는 크게 증가했다. 여력 있는 온라인 게임업체들은 모바일 게임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문제는 중소 온라인게임업체다. 자구 노력을 할 수 없는 이들은 현재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간기업의 펀드도 이미 실종된 지 오래고, 정부의 지원사업도 가뭄에 콩나기 수준에 그치고 있다. 나름 의지해 온 대형 게임업체들의 관심도 급격히 모바일로 쏠리는 등 중소 온라인게임업체들은 말 그대로 찬밥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

모바일게임에 대한 지원사업도 중요하지만 그 못지않게 온라인게임 업체에 대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 아직도 글로벌 시장에서는 온라인게임이 먹히고 있고, 대한민국의 게임 포트폴리오는 반드시 온라인이 기반이 돼야한다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소게임업체들을 키워서 세계 곳곳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민간에서 안 맡겠다고 하면 정부가 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지금이 바로 그때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