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이른바 ‘차이니즈 인베이젼(Chinese Invasion)’은 그동안 국내업계에서 낮은 인식을 갖고 있던 중국 업체와 작품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를 몰고 왔다.
과거 중국산 게임은 한참 수준 낮은 B급이라는 이미지가 강했지만 이제는 ‘싸고 좋은’ 작품이라는 이미지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 게임업계에는 규제강화, 수출확대 등과 같은 업계 외부 요인이 주요 키워드로 부각됐다. 이같은 외부요인 가운데에는 중국게임의 부상도 눈에 띄었다.


 최근 국내 게임시장에서는 중국게임과 관련한 이슈를 자주 접할 수 있었다. 넥슨, 네오위즈와 같은 대형 퍼블리셔들도 중국 인기 게임을 국내에 론칭하기 위해 대대적인 마케팅을 벌이기도 했다. 특히 웹게임 시장에서는 각종 중국 작품이 인기차트 상위를 점령하기도 했다.
웹게임이 온라인 게임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웹게임 시장이 협소했었다. 그러다가 최근 들어 중국 게임들이 쏟아져 들어오며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이 벌어지면서 중국 게임을 보는 국내 업체들의 시각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기존에는 질 낮은 작품이라고 무시하거나 평가절하했던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들어 동등한 위치로 격상시키는 분위기다.
 중국업체와 작품을 보는 업계 관계자들의 시선은 크게 둘로 나뉜다. 경쟁자 또는 파트너로 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중국업체들의 입지가 올라가고 작품성도 향상되는 현상이 일자 해외시장에 비중을 두는 업체 관계자들은 대체로 이를 경계하는 분위기다. 이들의 경우 최근 중국게임이 동남아 등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현상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온라인게임 종주국으로서 사실상 수출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했던 몇 년 전과 비교했을 때 중국게임의 급부상은 긴장이 되는 요소다.
여기에 ‘월드오브워크래프트’의 성공 이후 ‘리프트’ ‘리그오브레전드’ 등으로 북미 게임의 글로벌 시장 진출도 버거운 상황. 이 때문에 상당수 업계 관계자들은 용량이 가벼운 게임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노리는 중국업체들의 행보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퍼블리싱 게임업체 한 관계자는 “최근 해외시장은 바이어들이 무조건 사고보자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4~5년전과 비교해 많이 달라졌다”며 “중국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은 바이어들이 작품 선택에 신중함을 기하게 되는 현상도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사업 파트너라는 시각으로 접근하는 업체들도 상당하다. 이런 시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시장 확보에 주력하는 중소개발사 업계에서 눈에 띈다. 최근 중국업체들은 자국 내에 수입할 국내 게임의 직접 소싱을 겨냥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쿤룬과 더나인 등의 업체는 국내에 펀드를 조성해 개발사 투자 및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쿤룬코리아의 경우 지난해 200억원 펀드 조성의 규모를 늘려 올해 300억원으로 확대할 것을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중국업체들의 국내시장 활동에 대해 상당수 개발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파트너십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중소개발업체 대표는 “기존에는 이른바 ‘먹튀’ 이미지가 강해 중국업체들에 대한 불신 분위기가 강했지만 최근에는 많이 달라진 것 같다”며 “현지시장에 판호가 존재하는 만큼 국내에 진출한 중국업체들을 통해 진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시각 변화는 중국업체들에게서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평이다. 임성봉 쿤룬코리아 대표는 “지난해 중소개발사를 대상으로 소싱에 나서던 초창기만 해도 ‘중국업체는 먹튀’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힘들었다”며 “그러나 최근에는 적극적인 협력관계로 보는 시각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업체들은 국내업계와의 교류 확대를 통해 기술도입 효과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게임의 소싱과 퍼블리싱을 통해 얻어진 해외판로 개척은 물론 네트워크 기술이나 운영 서비스 전반에 대한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중국업체 한 관계자는 “중국 현지에서도 한국의 온라인 시장을 배우자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라며 “여기에 시장확대와 기술증진 등의 요소로 한국은 중요도가 높은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더게임스 김윤겸 기자 gemi@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