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20%씩 성장…정부 지원책에 탄력


지난해 수요 7조6000억에 달해…인터넷 보급률 힘입어 수직상승 가능성


 올해 중국의 인구는 14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세계 인구의 20%에 육박하는 수치로 지구에 200여개가 넘는 국가가 있는 것을 생각한다면 단일국가로 어마어마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현재 온라인게임 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접속하고 있어 세계 게임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해 12월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인터넷 보급률은 38%에 이른다는 소식이다. 특히 동부 연안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분기별 평균 20%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잠재고객층의 유입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게임관련 업체들의 중국에 대한 관심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터넷 개발도상국에 지나지 않았던 중국이 인터넷 인프라가 확산됨에 따라 본격적인 시장 진출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매년 20% 이상 게임시장의 성장을 이뤄갔다.

 

지난 2008년 전체 규모 186억 위안 규모에 그쳤던 게임시장이 지난 2009년 263억 위안으로 크게 올랐으며 특히 지난 2010년 333억 위안이었던 총 매출이 지난해 446억 위안으로 34%의 성장세를 보여 인터넷 보급률 향상과 함께 게임시장도 크게 활성화된 모습이다.


 온라인게임 시장의 성장세가 무엇보다 두드러진다. 지난해 중국의 온라인게임 시장 매출액(웹게임, 소셜게임 포함)은 총 429억 위안으로 우리나라 돈으로 환산하면 7조 6천억원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온라인게임 시장 규모인 5조 7천억원에 비해 1조원 가량 앞서는 수치지만 인구 규모나 인터넷 사용자수를 따졌을 때 크게 앞서는 수치는 아니다. 하지만 적지 않은 규모의 온라인게임 시장을 형성하고 있던 우리나라를 최근 빠른 속도로 추월하고 있으며 오는 2014년이면 세계 온라인게임시장의 30%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내년 중국의 온라인게임 시장 전망은 526억 위안 수준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연평균 14.9% 이상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의 게임산업 발전 요인으로는 높아진 인터넷 보급률과 더불어 정부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게임산업 지원정책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의 게임산업 지원 정책은 ‘12.5(1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계획이라는 큰 틀 아래 신정보기술 육성 분야의 하나로 게임을 선정, 갖가지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게임개발 인력양성, 모바일게임 연구개발 지원, 신 플랫폼?콘텐츠 발굴 등 정부 차원의 투자와 정부와 기업 간 게임양성 권유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으며 대형 사업자와 중소 개발사 간의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이익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거대한 인프라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정책으로 꾸준히 양적?질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정부 차원의 다양한 마케팅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중국의 신문출판총서에서 자국 온라인게임의 해외홍보계획을 수립하고 온라인게임을 브랜드화 시킬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자국 게임이 해외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제도를 구축하고 실용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수립한 자국 게임 보호를 위한 게임 관련법 규정은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다는 평이다. 관리부서와 기업에서 공동으로 게임 저작권을 보호함으로써 온라인게임 개발사의 개발 의욕과 창의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심사관리업무 강화를 통해 온라인게임의 엄격히 관리와 개인정보 인증을 통한 공안부서의 협력으로 청소년의 건전한 게임이용환경 구축과 게임 과몰입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이 체계적인 게임산업 육성책을 통해 점점 게임강국의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인력, 경제력 등 양적인 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중국은 발전된 온라인게임은 물론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새로운 플랫폼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해 우리나라 역시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게임산업 육성책을 마련하지 않고 지금처럼 규제책만 남발한다면 중국에 따라잡히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게임스 고수홍 기자 zakash@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